당연히 시공에 들어가야 할 철근을 사용하지 않은 이른바 ‘순살아파트’에 대한 국민 불안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경북에도 무량판 구조로 지어진 아파트가 총 4곳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지역 아파트 중 4곳이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아파트라고 밝혔다.지난달 31일 국토교통부에 보고한 해당 아파트는 경주에 2곳, 구미와 경산에 각각 1곳이 있다. 모두 1군 건설사가 준공하거나 시공 중인 건물로 알려져 입주민들의 불안과 파장이 예상된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를 ‘문재인 정권의 이권 카르텔’로 규정하고 조속한 실태 파악을 지시했다.특히 최근 철근을 사용하지 않는 무량판 구조로 지은 아파트 지하주차장이 붕괴 되면서 ‘철근 누락’ 순살아파트에 대한 국민의 공포감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7년 이후 준공된 전국의 민간 아파트 가운데 지하주차장에 철근을 사용하지 않은 무량판 순살 아파트가 모두 293개나 된다고 발표했다. 이들 중 105개 단지는 현재 건설공사가 진행 중이고 188개 단지는 벌써 입주가 끝났다고 한다.
‘무량판 구조’는 철근 보가 없이 기둥이 바로 콘크리트 천장을 지탱하도록 만드는 구조이다.기둥 위에 바로 천장을 앉는 방식으로 건설 비용이나 건축 기간이 짧고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다. 그러나 기둥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천장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하중 완충 역할을 하는 전단층을 넣고 철근으로 보강해 시공해야 한다고 한다. 이러한 철근이 없는 것이 ‘순살아파트’이다.
LH는 지난 정부 때 임직원의 내부 정보를 이용한 부동산투기로 엄청난 국민적 저항과 물의를 빚었다.또 이번에 지하주차장이 붕괴한 인천의 아파트를 설계와 감리를 맡은 업체는 LH 전관 영입 업체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순살아파트의 경우도 전관 특혜 의혹을 피해갈 수 없다.문재인 정부는 부동산 정책 참사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의 꿈’을 앗아갔고 임대주택으로 내몰아 LH의 투기에다 부실 공사마저 이권 카르텔로 얼룩지게 했다.
‘순살아파트’는 28년 전 1천500여 명의 사상자를 낸 삼풍백화점과 같은 공법이라 한다.아직도 건설 현장에서는 적당주의, 안전불감증, 설계·감리는 ‘전관’, 시공에서는 불법 하도급 등 후진국 관행이 건설 현장에 뿌리 깊이 남아 있다고 한다.이번 사건을 계기로 건설현장의 불량 자재 납품, 불법 하도급 등을 둘러싼 이권 카르텔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반드시 이뤄져 발본색원(拔本塞源)해야 한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보호가 국가의 최고 임무이자 존재 이유이다. 이제부터라도 정부와 정치권은 국민 안전을 최우선하고 유사한 참사가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건설 산업 이권 카르텔’ 타파를 위한 법적, 제도적 근본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