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호 태풍 `카눈`이 한반도를 향해 올라오고 있다. 10일 오전 쯤 통영 앞바다에 상륙할 것이라고 하는데, 경북은 아직 지난해와 올해 덮친 태풍의 피해복구도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또다시 태풍 소식에 걱정이 앞선다. 특히 포항은 지난해 ‘힌남노’의 상처가 아직 아물지도 않았는데 또다시 초강력 태풍 카눈이 올라온다고 하니 참으로 기가찰 노릇이다.  특히 이번 태풍 경로에 있는 대구경북은 또다시 강풍과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경북은 포항과 북부지역에 아직 수해복구 공사가 끝나지 않은 상태다.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관군이 합심해 잘 대비해야겠다. 카눈의 중심 기압은 970h㎩, 최대풍속은 초속 35m(시속 126㎞)로 강도는 `강`이다. 강도분류상 강(최대풍속 초속 33~44m)은 기차를 탈선시킬 수도 있는 위력이다. 더욱이 많은 비를 동반하는 것이 우려되는 점이다. 비는 경상권 100~200㎜(경상 동해안, 경상 서부 내륙 많은 곳 300㎜ 이상)가 온다고 하니 잘 대비해야겠다. 카눈은 10일 오전 10시 통영, 낮 12시 의령, 오후 2시 성주, 오후 4시 김천, 오후 7시 충주, 오후 9시 여주, 11일 오전 0시 춘천, 오전 1시 화천을 지나간다고 한다. 당초 `카눈`은 우리나라 동해안 일대만 훑고 지나갈 것으로 예상됐으나, 경로가 서쪽으로 이동하면 한반도 전역을 통과한다. 지난 2020년 9월에 발생한 태풍 `하이선`, `마이삭`과 유사한 경로다. 10일 오후부터 대구경북이 폭풍반경(풍속 25㎧ 이상)에 들게 된다니 각별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난번 재난에서 노출된 취약점을 잘 살펴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재난 대응에는 정부·지자체, 민·관이 따로 없다. 무엇보다 소방과 경찰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인간의 힘으로 태풍을 막을 수는 없지만 대처만 잘 한다면 피해는 줄일 수 있다. 얼마나 태풍에 잘 대비하느냐에 달렸다. 특히 인명 피해만큼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 얼마전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로 수십명의 목숨을 앗아간 예천, 봉화 등 경북북부지역의 참사는 절대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 또 청주 오송 지하차도와 지난해 힌남노 때 포항 오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침수 참사와 같은 후진국형 인재(人災)는 반드시 되풀이 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힌남노가 준 교훈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