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폭우 피해를 복구하기도 전에 견디기 힘든 폭염이 찾아왔다. 연일 숨쉬기조차 힘든 폭염에 온열질환에 목숨을 잃는 사례가 잇따르고 정부의 폭염 위기경보 수준도 가장 높은 ‘심각’ 단계로 상향되자 지자체들과 공공기관은 비상이 걸렸다.
전국적으로 지난 2일 현재 온열질환추정 사망자는 23명이나 되며, 이 가운데 경북이 10명으로 가장 많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7명에 비해 3배나 늘어난 수치다.
경북도는 지난달 31일 기준 총 109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이 중 60세 이상 고령층 비율이 42명(39%)으로 가장 높았으며, 발생 장소는 실외 91명(작업장 25, 논밭 25, 길가 10 등), 실내 18명(작업장 8, 집 2, 비닐하우스 1 등)이었다.
특히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 7월 도내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모두 91명으로 지난해 56명보다 62.5%(35명)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1일 열린 간부회의에서 “오전 9시 이후 어르신들이 논밭일 등 외부활동을 자제하도록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폭염 시간대 예찰 활동을 강화해 피해가 없도록 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경북도는 폭염대비 대응체제로 신속히 전환하고 오는 9월 30일까지 9개 관련부서와 시·군으로 구성된 폭염대책 전담팀을 운영해 폭염에 따른 재산·인명피해 최소화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공사장 야외근로자 △논밭 고령층 작업자 △독거노인, 장애인 등 ‘폭염 3대 취약분야’를 설정해 취약계층 등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
또한 폭염 대책기간 비상근무체계로 전환하고 자율방재단, 이·통장 등 재난 도우미를 통해 폭염 시 낮 동안 장시간 농작업, 나홀로 농작업은 피하도록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폭염대응 살수차 운영비 지원(5억4천만원), △폭염저감시설 설치 지원사업(스마트 그늘막 31개소, 그린 통합쉼터 7개소) 등 폭염대책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11억7천만원을 각 시·군에 긴급 지원했다.폭염은 우리나라만이 아닌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문제다.
미국에서는 43도 이상의 폭염으로 선인장 등이 말라죽고 그리스를 비롯한 유럽 남부 지역은 40도를 웃도는 폭염으로 산불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27일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시대가 끝나고 ‘끓는 지구’(global boiling)의 시대가 시작됐다”고 선언했다.우리는 얼마 전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극한호우를 겪었다. 이제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극한폭염을 겪어야 한다.비정상적인 폭염 피해를 막으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선제적이고 촘촘한 비상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 자연재난은 막을 수는 없지만 피해는 우리의 노력으로 얼마든지 줄일 수 있다. 이제 정부와 정치권, 지자체는 서로 머리를 맞대고 괴팍해진 기후변화에 맞게 재난대응 시스템을 바꿔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 선제적인 폭염대책을 세워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