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오랜 장마영향으로 상추가 `금상추`로 변했다.  이러다보니 일반 식당에선 아예 상추가 사라졌고, 삼겹살집에는 비싼 상추 대신 깻잎만 올라오고 있다.  지난달 집중호우로 인해 상추와 시금치 등 일부 채소 도매가격이 한 달 만에 2배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기준 시금치(상품) 도매가격은 4㎏에 4만7천920원으로 한 달 전(2만2천200원)보다 115.9% 상승했다. 이는 1년 전보다는 30.9% 높은 것이다.적상추(상품) 도매가격도 4㎏에 5만9천80원으로 한 달 전(2만6천160원)과 비교해 125.8% 올랐고, 1년 전과 비교해 74.1% 높은 수준이 됐다. 오이(다다기 계통·상품) 도매가격은 100개에 6만550원으로 한 달 전보다 17.0% 비싸고, 대파 가격은 1㎏에 2천522원으로 23.4% 상승했다.집중호우 뒤 치솟았던 농산물 가격은 지난달 말부터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폭염, 태풍 등으로 다시 오를 가능성이 있다. 또 1년 전보다 도매가격이 낮은 배추, 무의 경우에도 고온다습한 날씨에 병해가 확산해 출하량이 줄고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2.3% 오르며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상승폭은 2021년 6월(2.3%) 이후 25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크게 둔화된 배경에는 지난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로 정점을 찍은 데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석유류 가격이 역대 최대 하락폭을 보이고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서비스 물가 상승률이 축소된 점도 반영됐다. 다만 지난달 집중호우 탓에 상추, 열무 등 채소류 가격은 오름 조짐을 보였다.품목별로 보면 상품과 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1.4%, 3.1% 상승했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년보다 0.5% 하락했다.농산물 물가 전년보다 0.3% 상승했다. 채소류 가격이 1년 전보다 5.3%나 내려가면서 농산물 가격 상승폭을 줄였다. 등락 품목을 보면 사과(22.4%), 고춧가루(8.3%), 토마토(17.3%), 고구마(14.1%) 등의 가격이 전년보다 상승했다.다만 전월과 비교하면 지난달 집중호우 영향으로 채소류 가격은 7.1% 상승했다. 상추(83.3%), 시금치(66.9%), 오이(23.2%), 열무(55.3%) 등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