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대량의 장맛비와 국지성 극한호우로 인해 대규모 수해를 입은 경북도가 재난 대응 시스템의 전면적 革新에 나서 관심과 주목을 끌고 있다. 경북도의 재난 대응 시스템의 전면적 혁신은 획기적 아이디어로서 전국 광역자치단체에서 처음이다. 경북도는 전문가를 帶同해서 도내 마을 전체를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 시 토석류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고 가장 안전한 장소를 새로운 긴급대피소로 지정할 방침이다.이재민 천막 신세 청산을 선언한 이철우 도지사는 지난 26일 재난 관련 담당 실국장 원탁회의를 주재하고 “기후위기에 따른 새로운 재난에 당장 준비해야 할 것은 사람의 목숨을 구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또 “재난이 발생한 위험지역에 안전지대를 새롭게 지정하고 재난방어체계가 설계된 안전대피건축물을 시범적으로 만들 것”을 주문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현재 피해가 발생한 도내 지역을 보면 다행히 마을회관이 피해가 적었으나 마을회관이 과연 안전한 곳이라고 말할 수 있냐”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 지사는 당장 최고 안전대피 시설을 마을별로 모두 구축할 수 없지만 마을별로 마을회관이 아닌 지형적으로 가장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곳에 ‘우선 대피 장소’를 지정하라”며 만약의 사태에 철저한 준비를 천명(闡明)했다. 또 “전문가를 통해 마을 주민이 대피 장소에 이르는 동선까지 모두 고려해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할 수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도 당부했다. 이 도지사의 지시를 받은 재난안전실, 소방본부, 환경산림자원국, 건설도시국, 자치행정국 등 관련 부서와 경북연구원, 민간전문가 등과 함께 TF팀을 꾸려 예방-대비-대응-복구 전반의 체계를 혁신하고 실천 방안 마련에 서로 머리를 맞대고 全力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장·단기 과제를 구분해서 접근하되 하계 집중호우와 태풍 피습에 대비해 경보와 대피시스템도 긴급하게 손볼 계획이다. 우선 재난문자는 읍·면·동 단위로 발송토록 세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시·군이 발송하는 ‘대피하라’는 식의 단순한 재난문자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재난문자 발송 주체를 읍·면·동으로 바꾸고 각 마을별로 대피소 위치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하도록 획기적으로 바꾼다는 구상이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경우 재난문자에 더해 마을 방송을 활용해서 재난 경보의 전파와 주민 대피를 돕겠다는 계획이다.대피소도 새롭게 점검하고 지정한다. 현재 산림보호법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역’에서는 대체로 마을회관, 경로당 등을 대피소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처럼 대규모 토석류가 마을을 통째로 삼켜버리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대피소에서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재난 상황에서의 대응이 민첩하고 革新的이어야 하는 이유에서 이철우 도지사의 야심찬 ‘有備無患 재난 대응책’이 전국에 파급돼 기상이변에도 잘 극복해 나가는 原動力이 될 것을 확신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