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연구진이 활성산소 및 염증의 핵심 조절인자인 ‘TXNIP (티오레독신 상호작용 단백질)’의 발병기전과 저해제 개발현황 등 최신 연구동향을 정리해 발표했다.   TXNIP은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반응을 활성화 시키는 핵심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여러 연구들을 통하여 당뇨· 만성 신장질환·퇴행성 뇌 질환 등 난치성 질환의 발병에 관여함이 밝혀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논문을 통해‘TXNIP’의 발병 인자로서의 역할과 기전 그리고 현재까지 개발된 ‘TXNIP 저해제’종류와 효능 및 해당 질환에서의 치료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새로운 치료제 타깃으로서의 잠재력과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분자영상평가팀 박선지 (교신저자)·최의환 (제1저자) 박사의 총설논문은 생명과학 분야의 세계적 저명 학술지인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실험 및 분자의학, IF:12.8) 7월 호에 게재됐고,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한국을 빛낸 사람들(한빛사)에 선정됐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치료제 타깃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많은 연구자들에게 이 논문이 향후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