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현대자동차가 전기차 신공장 건축 인허가를 10개월 만에 완료하고 오는 9월 착공한다는 소식은 포항에게는 충격적으로 들린다. 통상 3년 이상 걸리는 인허가 기간을 3분의 1 이하로 줄인 것도 놀랍지만 울산시와 현대차간의 소통과 공조, 협력이 더 놀라울 따름이다. 울산시 담당 공무원은 기업의 대규모 투자에 발맞춰 현대차에 파견돼 상주하다시피 했다. 사업계획 수립 단계부터 적극적인 행정 지원을 펼쳤기 때문에 3년 걸리는 인허가 기간을 10개월로 단축 할 수 있었다. 현대차는 지난해 7월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2조3000억원 규모의 국내 전기차 신공장 건설계획을 발표했다. 울산공장 내 주행시험장 부지 55만㎡에 연면적 33만㎡ 규모의 전기차 공장을 올해 착공해 2025년 양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었다. 처음에는 기존 국가산업단지에 공장을 짓는 만큼 관련 인허가 절차가 간단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1960년대 산업단지 조성 당시엔 없던 환경·교통·재해영향평가와 문화재 조사 등 절차가 복잡했다. 현대차의 대규모 투자 소식을 접한 울산시는 지난해 9월 소속 공무원 2명을 현대차에 파견해 인허가 절차를 지원토록 했다. 기존 방식이라면 설계, 영향평가, 허가, 문화재 조사, 부지 공사 등을 순차적으로 해야 하지만 전담 공무원들은 소요 기간 단축을 위해 여러 절차를 중첩하거나 동시에 진행했다. 단계별로 거쳐야 하는 10개 인허가 절차를 동시에 진행한 적도 있다고 한다. 울산시는 기업의 대규모 투자사업이 복잡한 인허가 때문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삼성SDI, 에쓰오일, 고려아연, 현대모비스 등으로 전담 공무원 파견을 확대하고 있다. 울산시의 이러한 고속행정을 다른 지자체들이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포항은 어떤가. 포스코가 수조원을 들여 포항제철소 앞 바다 공유수면을 매립해 조성하려는 수소환원제철소는 첫 시작부터 주민반발로 한 걸음도 떼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포항시가 적극 협조하겠다고 하지만 주민들이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달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용지조성을 위한 주민합동설명회’가 참석한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결국 무산됐다. 이날 포스코 측은 그동안 진행한 수소환원제철소 부지조성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과 그동안 진행상황에 대해 설명하려고 했으나 주민들이 항의하는 바람에 시작도 해보지도 못하고 중단됐다. 아쉬운 대목은 이 과정에서 포항시의 적극적인 행정 뒷받침이 따라주지 못했다는 점이다. 사전에 주민들과 접촉하고 소통해 1차 관문인 설명회라도 무사히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이었지만 끝내 무산됐다. 수소환원제철소가 건설되려면 아직 많은 절차가 남아있다. 울산 현대차의 신공장 인허가가 속전속결로 진행됐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꽉 막힌 포항의 현실이 씁쓸하고 안타깝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