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과 구미가 이차전지, 반도체 특화단지로 선정되면서 경북경제가 날개를 달았다. 지난 2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포항시를 ‘이차전지 양극재산업 특화단지’로, 구미시를 ‘반도체 특화단지’로 각각 선정했다. 특화단지 선정으로 포항시는 철강 일변도의 산업에서 석유를 대체하는 이차전지 배터리 소재산업을 더한 미래산업 다변화를 꾀할 수 있게 됐다. 포항은 ‘수소연료전지 발전 클러스터 구축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도 이날 동시에 통과돼 겹경사를 맞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성장 거점이었던 구미시도 이번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으로 새로운 미래 먹거리 산업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이로써 경북은 포항과 구미가 동시에 특화단지로 선정되면서 경북경제 제2의 부흥기를 맞게 됐다.
경북은 이제 대한민국 대표 산업인 K-배터리, K-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초격차를 견인해야 한다는 막중한 책임도 함께 안게 됐다. 정부가 특화단지를 지정한 것은 배터리와 반도체 등 국가전략산업의 글로벌 초격차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고 지역 산업계와 자치단체는 물론 정치권과 교육계 등이 힘을 합쳐 대한민국이 빠른 시일 내 국민소득 5만 달러를 달성해야 한다. 이차전지 양극재산업 특화단지에 지정된 포항시에는 이미 배터리 소재산업 세계 최고의 기업인 포스코퓨처엠과 에코프로를 갖고 있다. 올해 안에 아르헨티나 염호에서 추출한 리튬 생산이 가시화되고 양극재와 음극재를 동시에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이 버티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양극재와 리튬 생산 등 배터리 소재 밸류체인을 완성한 에코프로도 건재하다. 이들 기업은 오는 2027년까지 14조원을 영일만산업단지와 블루밸리산업단지에 쏟아 붓는다.구미시 역시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으로 경기도 용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반도체 제조기업의 후방공급기지 역할을 수행하고, 초일류 소재·부품 기업의 기술 초격차 역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반도체특구 지정으로 반도체 산업과 직접적인 연관관계에 있는 AI, 로봇, 미래 모빌리티, 방산 등 첨단산업 생태계 구심점으로 구미시가 추진하는 미래 산업도 탄력을 받게 됐다. 포항과 구미의 특화단지 지정을 계기로 대구경북이 기술 패권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았다. 무엇보다 이차전지 소재와 배터리 소재 산업 특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에만 목을 메서는 안 된다. 적극적인 투자를 이끌어 내고 연구개발(R&D) 역량을 확보하는 한편 기업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해줘야 한다. 이제 포항과 구미는 지역 산업구조 고도화와 함께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성장잠재력을 끌어올려야 한다. 경북경제의 힘찬 비상은 포항과 구미의 양 날개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