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성낙성기자]성주군 소성리 설치된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기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측정하기 위해 최근 성주군과 김천시에 모두 5대의 측정 장비가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부는 현재 설치된 장비를 시험운영 중이며, 빠르면 이달 중 본격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들 장비를 통해 측정한 전자파 측정 수치는 발광다이오드(LED) 전광판을 통해 매일 실시간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안내한다는 계 군 당국의 계획이다.
전자파 측정 장비는 경북 김천시 농소면 노곡리 마을회관과 농소면 행정복지센터, 남면 행정복지센터, 율곡동 행정복지센터, 그리고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마을회관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환경영향평가 결과에서처럼 `전자파 수치가 미미하다`는 점을 적극 알리기 위해 주민들이 자주 지나다니는 곳을 장비 설치·운영 장소로 선정했으며, 전자파 측정 장비는 마을회관·행정복지센터 옥상에, 전광판은 같은 건물 옥상이나 1층 입구 상단 등에 각각 설치했다.
현재 국방부는 이들 전자파 측정 장비와 전광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시험하고 있다. 시험운영이 끝나 장비가 가동되면 전광판에선 국제 전자파 인체영향 보호기준과 실시간 전자파 측정치가 현재 시각과 함께 표시될 예정이다.
국방부는 지난해 11월 국내 업체와 총 1억8천만원 예산으로 전자파 측정 장비 구매대행 계약을 맺고 독일제 장비 8대(3대는 예비용)를 수입했으며, 이와 연동 운영할 수 있는 전광판 등도 구매했다.
그간 일부 주민과 단체 등이 `사드 레이더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때문에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고 주장하며 기지 정상화에 반대해왔던 만큼, 이런 우려와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사드배치반대 김천시민대책위원회`와 `사드철회평화회의` 등 8개 단체는 주한미군 사드가 성주에 임시 배치된 2017년 이후 "사드 레이더가 바라보는 방향의 마을에서 암 환자가 여러 명 발생했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국방부도 사드 전자파와 지역주민의 암 발생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따져보고자 올 초 단국대 부속 병원을 통해 관련 연구를 시행하려 했으나, 이땐 오히려 일부 주민들이 반대해 무산됐다. `군이 발주한 연구용역 결과는 믿을 수 없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었다.
환경부가 지난달 21일 승인한 사드 기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를 보면,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 측정치는 최댓값이 0.018870W/㎡로서 인체보호기준(10W/㎡)의 530분의1에 불과했다.
그러나 사드 기지의 정상화에 필요한 환경영향평가 자체가 주민 반대 등을 이유로 5년 넘게 지연되면서 기지에서 근무하는 한미 장병들은 2017년 4월 사드 포대 설치 이후 제대로 된 막사 없이 기지 부지 내 기존 골프장 클럽하우스 시설과 외부에서 공수해온 컨테이너 등을 숙소로 사용하는 등 열악한 여건에서 생활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