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25∼49세 남성 중 절반 정도는 결혼 경험이 없는 독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도 3명 중 1명은 미혼이었다. 통계청이 `인구의 날`인 11일 기존 통계를 토대로 작성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2천건으로, 1970년(29만5천건)보다 10만3천건 감소했다.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1970년 5.5건에서 지난해 3.7건으로 줄었다.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가 31.3세로 나타났다. 남녀 간 평균 초혼연령 차이는 2.5세로, 2012년(2.7세)보다 소폭 줄었다.독신 남성·여성의 비율도 빠르게 증가했다.25∼49세 남성 중 미혼인 사람의 비율은 2010년 35.3%에서 2015년 40.2%, 2020년 47.1%로 지속해서 증가했다.여성 미혼 비중 역시 2010년 22.6%, 2015년 27.1%, 2020년 32.9%로 계속 늘었다.결혼이 줄어들면서 출생아 수도 감소했다.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9천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 48만5천명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합계 출산율도 2012년 1.30명에서 지난해 0.78명으로 감소했다.15∼49세 기혼 여성 중 추가 자녀 계획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12.5%로 집계됐다. 추가계획 자녀 수까지 합한 기대 자녀 수는 1.68명이었다.법적 혼인 상태가 아닌 혼외자 출생은 2021년 7천700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했다.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통계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48.8%에서 지속 상승해 지난해 54.6%를 기록했다.고용률도 상승세가 이어져 지난해 60.0%까지 올랐다.경력 단절 여성은 15∼54세 기혼 여성 중 17.2%를 차지했다. 경력 단절 사유로는 육아(42.7%)가 가장 많았고 결혼(26.3%), 임신·출산(22.8%) 등이 뒤를 이었다.통계청은 한국 인구가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해 2041년 4천만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했다.노인 인구 비중은 현재 18.4%에서 34.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2070년 한국 인구는 3천800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