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최근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논란을 빚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 관련해 전국 4년제 대학 총장의 절반 이상은 현행 체제를 유지하는 대신 자격고사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대학 총장 10명 중 4명꼴로 내년도 등록금을 인상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일 교육부 출입기자단이 최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하계 총장 세미나에 참석한 전국 4년제 대학 총장 8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교육부의 2028 대입 개편안 마련과 관련해 응답자의 51.8%는 수능을 자격고사화해야 한다고 답했다.자격고사는 검정고시와 마찬가지로 일정 점수를 넘기면 대학에 입학할 자격을 주는 시험이다. 프랑스 바칼로레아가 대표적인 대입 자격고사다.대학 유형별로 보면 수도권(53.3%)이 비수도권(51%)보다, 국공립(64.7%)이 사립(49.2%)보다 수능 자격고사화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현행 유지`는 24.1%였고, `서·논술형 도입`은 15.7%였다. `수능 폐지` 응답은 8.4%로 나타났다.현 정부가 올해 수능에 내세운 킬러 문항 배제 원칙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45.8%가 `변별력 저하는 있지만 대입 혼란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변별력 저하도, 대입 혼란도 없을 것`이란 응답은 32.5%, `변별력 저하로 인한 대입 혼란이 우려된다`는 대답은 21.7% 순으로 나타났다.현 정부가 다양한 대학 규제 개혁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대학 총장 50.6%는 `등록금` 규제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꼽았다. 그 뒤를 `대학 재정지원`(41%)이 따랐다.수도권 대학은 3곳 중 2곳꼴인 64.5%가 등록금 규제를 풀어달라고 했지만, 비수도권 대학은 가장 많은 54%가 대학 재정지원을 요구해 입장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등록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41.7%가 `2024학년도에 인상할 계획`이라고 답했다.`2025학년도 이후 인상`할 계획이라는 대답은 28.6%였고, `정부 방침을 따르겠다`는 비중도 22.6%에 달했다. `인상 계획 없다`는 대답은 7.1%에 그쳤다.1개교당 5년간 최대 1천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30 예비 지정 결과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만족하지만 부족한 대학도 포함됐다`는 응답이 71.6%로 가장 우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