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지역발전협의회는 포항시와 포스코가 상생의 손을 잡은데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포항지발협은 “그 동안 포스코 지주회사 포항이전문제와 미래기술연구원 본원의 실질적 이전문제로 포항시와 포스코가 갈등을 빚은데 대해 포항시민 모두가 우려하고 안타깝게 생각했는데, 다행히 포항제철소 1기설비종합준공 50주년을 맞이해 양 수장이 상생의 손을 잡은 것은 환영할 일이다”고 전했다.이어 “포스코가 세계적 국민기업으로 도약하기까지 삶의 터전을 내주고 포스코의 성장에 기여한 포항시민이 있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포항시 또한 지방소멸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과의 갈등보다는 상생의 방안에 노력해야 할 것이며 모처럼 맞은 화해의 분위기가 포항발전의 초석이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또 “포스코는 지주회사 본사와 연구원본원의 실질적 기능과 역할이 이루어져야 하며, 2030년까지 국내 투자하기로 한 약속과 최회장의 포항시청 방문 등의 약속이 이루어져 포항시와 포스코가 상생의 길을 걸으며 제2제3의 영일만의 기적이 이루어지길 포항시민 모두가 바라고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포항지역발전협의회는 포항시가 이차전지 산업을 육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포발협은 “특화단지에 도전장을 내민 도시 중에서 포항은 양극재와 음극재를 동시에 생산하는 세계 유일의 도시로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이 생산시설을 집적하면서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포항에서 생산되는 양극재 15만톤은 국내 최다이며 이차전지 소재 수출입이 가능한 영일만항과 포스텍, 가속기 등 세계적 연구개발 인프라와 전문인력 수급이 용이한 산업기반도 보유하고 있다.”고 역설했다.또 “포항은 2019년 배터리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받고 전국 최초 3년 연속 우수특구로 선정되는 성과를 내고 있고 이차전지산업 육성 조례를 전국에서 가장 먼저 제정했으며 경북도 내 30개 산학연관이 이차전지산업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도 출범한 바 있다.또한 “지방에서 유일하게 국제 컨퍼런스를 2020년부터 개최하고 올해부터 시청에 전담부서를 신설해 운영하고 있어 이차전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우리 포항의 노력과 의지는 탁월하고 지역민들의 염원은 어느 도시보다 뜨겁고 강하다. 하지만, 포항과 다른 도시를 묶어 지정한다는 최근 언론 보도가 잇따르면서 50만 포항시민이 느끼는 우려와 상심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고 했다.끝으로 “이차전지의 핵심인 양극소재에 특화된 포항과 다른 이차전지 분야인 지역을 묶어 지정하려는 의도는 산업적 특성을 무시하고 지역간 갈등을 조장하는 후진적 작태이다. 정치논리로 나눠 먹기식으로 국가의 백년대계를 흔들려는 이러한 행태는 당장 멈추어야 한다.중립의 위치에서 특화단지 지정이 공정하게 이루어지도록 감시해야 할 정치권이 자기지역을 챙기는 행위는 명백한 반칙이며 국가 경쟁력 강화라는 특화단지의 원래 목표에 맞게 지정이 되도록 감독자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포발협은 “다른 분야의 두 도시를 묶어 추진하게 되면 추진 체계의 이원화로 지자체와 기업, 참여기관들이 상호 협력하지 못해 특화단지가 제대로 추진될 리 만무하다.정부도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원활한 추진과 당초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 양극소재 특화단지와 분야별 특화단지로 각각 지정해 이차전지산업의 육성과 보호에 앞장서야 한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