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에 빨간불이 켜졌다. 대출 연체금을 자체적으로 수습할 수 없을 정도로 위험수위에 도달했다는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왔을 때부터 몇몇 새마을금고가 위험하다는 얘기가 돌더니 결국 전국 30곳이 위험해 특별검사가 필요하다는 게 정부 측의 설명이다. 정부가 지난 4일 부실 위험이 있는 새마을금고 100곳을 특별 점검하겠다고 발표했는데 다소 늦은 감이 든다. 사후약방문이 아닌 확실한 처방책이 나와야 하는 시점이다. 이대로 방치하다간 고객들에게 신뢰마저 잃게 된다.
새마을금고 대출금은 총 196조 8000억원(가계 85조 2000억원, 기업 111조 6000억원)으로 이중 연체액은 12조 1600억원(6.18%)이나 된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지난달 중순 6.4%까지 급등했다. 신협·농협 등 상호금융권 전체 연체율(2.42%)보다 무려 2.6배나 높다. 코로나 기간에 부동산 PF, 중도금 대출 등의 취급액을 급격히 늘렸다가 부메랑을 맞은 결과다. 여러 금고가 부동산 PF 등에 함께 뛰어든 ‘공동대출’ 연체율은 무려 20%까지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 초부터 불안심리가 퍼지면서 지난 3~4월에만 7조원 가까운 예금이 새마을금고에서 빠져나갔다. 새마을금고는 전국 1294개 점포에 총자산이 300조원에 육박하는데도 금융당국의 감독조차 받지 않는 무소불위 기관이다.새마을금고 관리감독권을 갖고 있는 행정안전부는 연체율 10%가 넘는 금고 30곳은 특별검사를, 연체율 상승세가 두드러진 70곳은 특별점검을 벌인다고 한다. 하지만 눈앞의 연체율 떨어뜨리기에만 집중하는 졸속대책으로는 안 된다. 정부 칼날을 피하려 일부 금고들이 대출이자 10%만 내면 정상 상환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폭로까지 나오고 있다. 이번만큼은 정확하게 진단해 회생 가능성이 없는 새마을금고는 과감히 도려내거나 통폐합해야 한다. 미국 뱅크런 사태에서 보듯 작은 균열이 확산되는 것은 순식간이다. 한번 무너진 고객의 신뢰는 회복하기 힘들다. 이참에 새마을금고가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을 받을 수 있도록 법도 개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