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5대 시중은행 중심으로 굳어진 은행권 과점 틀이 깨진다.
정부는 기존 금융회사의 시중은행 전환을 허용하고, 인터넷전문은행이나 지방은행에 대한 신규 인가도 추진하는 등 은행 산업을 `경합 시장`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따라서 지방은행의 선두주자격인 대구은행은 시중은행으로 전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5일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금융당국은 은행권 과점 체제가 이자 장사에만 치중하는 관행으로 이어졌다는 판단 아래 지난 2월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경쟁 촉진 방안을 논의해왔다.은행업계에 신규 플레이어, 즉 `메기`를 풀고자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춘 게 이번 대책의 핵심이다.우선 단시일 내 안정적·실효적 경쟁 촉진을 위해 기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적극 허용하기로 했다.전국 점포망을 갖추고 있는 대구은행은 시중은행으로 전환하겠다는 의사를 금융당국에 밝힌 상태이며, 금융당국은 신청이 들어오는 대로 전환 요건에 대한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면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0여년 만에 새 시중은행이 등장하는 것이다.시중은행·지방은행·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인가 정책도 `오픈 포지션`으로 전환된다.기존에는 사실상 금융당국에서 인가 방침을 먼저 발표한 뒤 신규 인가 신청·심사가 진행됐으나 자금력과 적절한 사업 계획만 갖췄다면 언제든 인가 신청을 할 수 있게 된다.저축은행이나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 지점 규제를 완화하고 경쟁력을 높여 시중은행과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 간 인수·합병 범위가 확대되고 외국계 은행 원화 예대율 규제가 완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