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 1일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와 영어는 작년 수능과 난이도가 비슷했지만 수학은 다소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은 지난해 수능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6점 올랐고, 국어와 수학 간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도 커졌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7일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통상 `만점`)을 보면 국어 영역은 136점, 수학은 151점으로 작년에 치러진 2023학년도 수능보다 각 2점과 6점 상승했다.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한다.지난해 수능의 경우 국어는 다소 쉽게, 수학은 어렵게 출제됐다는 평이 있었다. 올해 6월 모의평가는 국어·수학 모두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했지만 국어는 작년의 쉬운 기조가 이어졌고, 수학은 까다로웠던 작년 수능보다 더 어렵게 출제됐다는 평이 나온다.실제로 이번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을 받은 수험생은 1천492명으로 전체 국어 응시자 중 0.39%를 차지해 작년 수능(371명/ 0.08%)보다 크게 늘었다.수학 만점자는 648명(0.17%)으로 작년 수능(934명/ 0.22%)보다 줄었다.수학이 더 어렵게 출제되면서 국어-수학 간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도 지난해 수능(11점)보다 4점 늘어난 15점이 됐다.문·이과 통합수능 도입 이후 상위권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높은 수학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대학 인문·사회계열에 교차지원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국어-수학간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벌어지면서 이런 기조도 심화할 가능성이 커졌다.절대평가인 영어 영역은 1등급 학생 비율이 7.62%로 지난해 수능(7.83%)과 비슷했다.다만, 2등급은 18.67%에서 14.95%로 줄었다. 탐구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사회탐구의 경우 생활과 윤리가 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회·문화가 66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학탐구는 지구과학Ⅱ가 98점으로 가장 높고 물리학Ⅰ이 69점으로 가장 낮았다.한편 6월 수능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38만1천673명이었다. 재학생은 30만6천203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이 7만5천470명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