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경북도가 도시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명실상부한 귀농지로 자리매김했다.
경북은 지난해 총 지난해 2530가구(3317명)가 귀농해 전국 귀농 1만2411가구(1만6906명) 가운데 20.4%를 차지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전남(1966가구)보다 무려 546가구나 많은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27일 경북도와 농식품부에 따르면 경북은 지난해 2530가구(3317명)가 귀농했고 이어 전남이 1966가구, 충남이 1562가구로 집계됐다는 것.경북도내 시군별로는 의성 213명(전국 1위)으로 가장 많았고, 상주 212명(2위), 김천 193명(3위), 영천 180명(5위)으로 전국 상위 5곳에 경북의 4개 시군이 포함됐다.경북도는 전년 대비 전국 귀농가구 감소율(13.5%)보다 훨씬 낮은 감소율(6.6%)을 기록해 시군 면단위 평균인구인 3000명 정도는 매년 꾸준히 유입됐다.그렇다면 경북에 귀농가구가 이처럼 몰리는 이유는 뭘까. 경북은 타 시도보다 과수와 시설채소, 축산 등 이른바 ‘돈 되는 농사’의 고소득 작물 위주로 발달하다보니 농업 소득(1507만8000원, 전국 2위)이 높고 도움 받을 선도 농가(17만호, 전국 1위)가 많은 선순환이 계속 되풀이 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특히 경북도와 23개 시군의 정책자금 지원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대규모 박람회 참가를 통한 도시민 유치 홍보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 제공 등도 귀농 유치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수가 4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주택거래량도 49.9% 감소하면서 전국적으로 귀농·귀촌 인구수가 감소된 것으로 파악됐다.경북도는 귀농·귀촌 지원시스템 정비와 재구축, 도시민 유치 홍보활동 강화, 귀농인 정착 지원사업 확대, 귀농·귀촌인들의 지역민과 소통을 통한 화합분위기 조성 등 올해부터 귀농귀촌 분야의 질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촘촘한 프로그램을 짜놓고 있다.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이번 귀농귀촌 통계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필요한 정책을 보완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귀농과 청년창농 지원정책, 수요자 중심 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펼쳐 귀농인을 더욱 유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