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시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SRF)의 용량 과다 설계로 연료로 사용되는 가연성쓰레기 부족사태가 현실화되면서 운영사 적자문제 등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운영사 적자는 SRF 생활쓰레기 반입 수수료 인상으로 이어져 자칫 시민혈세로 적자폭을 메꾸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25일 포항시에 따르면 SRF 운영사인 포항이앤이에 생활쓰레기 반입 수수료(사용료)로 연간 60~70억원이 지급되고 있다는 것. 현재 생활쓰레기의 SRF 시설 반입 수수료(톤당 4만9천원)를 톤당 1만원만 인상해도 연간 10억원상당 추가 부담하게 되면서,혈세로 운영사의 재정난을 해결해야 한다는 염려가 나온다.그동안 모자라는 가연성쓰레기를 압축베일로 충당했지만 이것조차 지난 해 6월말 베일 17만개 모두가 소진됐다.때문에 SRF 발전시설 용량 1일 270톤에 가연성쓰레기 30톤이 계속 모자라는 실정이다.이에 따라 연료부족으로 SRF 에너지화시설의 운전상태가 효율적이지 못한 나머지, 환경상 위해물질의 배출이 법정기준을 초과함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박칠용 포항시의회 의원은 “SRF 에너지화시설의 동력원이 부족해 연료화시설의 운전상태가 비효율적으로 가동되면서 위해물질의 배출량이 법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그 피해는 인근 오천읍 주민들이 고스란히 입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문제는 또 있다.연료부족 사태가 지속될 경우 운영사의 수입원이 전기판매수입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경영난에 시달린 나머지 SRF운영 중단사태로까지 이어 질 수 있다는 점이다.다시말해 SRF의 연료부족에 따른 운영사의 전기판매 수입이 줄어들고,이로써 운영사의 적자폭이 확대되면 최악의 경우, SRF시설이 전격 가동 중지될 우려도 있어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포항이앤이에 따르면 이같은 상태가 지속된다면 2022년 1억원의 경영 적자 발생을 시작으로 올해 25억원,내년48억원,오는 2025년 71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결국 적자 누적으로 오는 2025년에는 CDS한도(65억원) 초과로 법인 파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문제는 경영악화로 SRF운영이 중단되면 포항시 생활쓰레기를 제때 처리할 수 없게되면서 쓰레기대란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이다.포항시는 SRF 연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호동2매립장에 파묻힌 쓰레기를 다시 굴착해 그중 가연성쓰레기를 선별해 연료에 충당할 예정이다.이렿게 굴착해서 생산되는 가연성 쓰레기는 1일 250톤으로 상당히 많은 양이다.하지만 장기간 매립돼 있던 쓰레기라서 열효율이 낮고,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면서 연료부족 문제는 쉽사리 해결되지 않고 있다.박칠용 의원은 “가연성쓰레기 부족사태가 지속되면 발전량 부족에 따른 전력판매수입이 급감해, SRF 운영사에 적자가 계속 발생한 나머지 최악의 경우, 시설 운영을 중단하는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인근 경주시에는 지난 2019년 운영사의 적자누적으로 5개월간 소각장이 가동 중지된 사례가 있었다.포항시는 이같은 사태를 사전에 막기위해 수수료 인상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박상근 포항시 자원순환과장은 “당초 실시 설계시 영천시 쓰레기 32톤을 반입하는 조건으로 SRF용량을 설계하다보니 1일 270톤으로 결정됐지만,실제로 영천시 쓰레기는 반입되지 않아 1일 30톤의 연료가 부족하다”며 “호동2매립장 순환이용 정비사업으로부터 나오는 가연성 쓰레기를 최대한 이용해 SRF연료 부족분에 충당할 예정이다”고 말했다.또 “가연성쓰레기 부족으로 불완전 연소의 지표인 일산화탄소 농도에 큰 변화가 없으므로 물량부족에 따른 환경오염은 우려할 사항이 아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