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금리 10%대인 `청년희망적금`의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다.
지난 5월말 현재까지 적금 가입자 가운데 중도 해지자가 약 7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4명 중 1명이 중도해지한 셈이다. 고금리·고물가로 경기가 악화되자 급전이 필요한 2030세대들이 당장 필요한 생활비 마련을 위해 적금을 해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1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된 2022년 2월 최초 가입자 수는 289만5546명이었으나, 올해 5월말 기준 중도 해지자 수는 68만4878명으로 중도 해지율이 23.7%에 달했다. 납입 금액과 연령대별 중도 해지율을 보면 납입 금액이 적을수록, 가입 연령이 낮을수록 해지율이 높았다.납입 금액대별로는 19만2750명이 가입한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이 뒤를 △10만~20만원 미만(48.1%) △20만원~30만원 미만(43.9%)가 이었다. 연령대별 중도해지율은 가장 어린 만 19세가 27.9%로 가장 많았다.반면 나이 상한인 34세의 중도 해지율은 21.2%로 가장 낮았고, 납입 금액 상한인 `50만~60만원 미만`의 중도해지비율은 14.8%로 가장 적었다. 애초에 적금 납입 여력이 있고, 안정적인 수입을 가진 사람들의 유지율이 높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정부 역시 지난 15일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한 정책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를 선보였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달 70만원을 적금하면 정부 지원금(월 최대 2만4000원)을 보태 5000만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게 설계됐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신청을 받은지 4일만에 약 32만명이 가입을 신청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대상은 연소득 7500만원 이하로,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만 19∼34세(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 제외) 청년이다. 가입자는 월 1000원부터 70만원 이하 범위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현재 청년도약계좌는 농협·신한·우리·하나·IBK기업·KB국민·부산·광주·전북·경남·대구 등 11개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에서 가입 신청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