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포스코플랜텍(사장 김복태)은 ㈜오티시 및 필즈엔지니어링㈜와 자열 개질 방식 (ATR : Autothermal Reforming)과 수증기 개질 방식(SMR : Steam Methane Reforming)의 비교 분석 등 수소 생산 관련 기술 교류를 위한 공동 업무협약을 6월 15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수증기 개질 수소 생산 방식(SMR : Steam Methane Reforming)은 메탄을 원료로 고온(700℃~1,100℃), 고압(3bar~25bar)의 수증기와 촉매의 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천연가스를 연소시켜 얻은 열로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 공법은 보편화된 방식이나 고온 발생을 위한 에너지 과다 소비 및 천연가스 연소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이슈가 있다.반면에 자열 개질 수소 생산 방식 (ATR : Autothermal Reforming)은 수증기 개질 방식과 부분 산화 방식의 조합기술로써, 수증기 개질 방식에 필요한 열을 부분 산화 방식의 발열 반응에 의한 열로 자체 공급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천연가스 사용량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이고 이산화탄소의 포집이 용이하며 설비구축에 필요한 부지면적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또한 산화반응을 위한 산소 공급이 필요하므로 기존에 산소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는 고객에게는 더욱 유리한 수소 생산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협약기관들은 이러한 수소 생산 방식에 따른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탄소 발생량을 저감하고 필요부지 및 원가를 절약하는 공법 등 고객의 니즈에 따라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했다.이를 위해 오티시는 SMR, ATR 등 수소 생산 방식에 따른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며, 필즈엔지니어링은 수소 생산 플랜트의 설비 설계 및 제작, 시공 설계 등의 축적된 엔지니어링 능력을 접목하고, 포스코플랜텍은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 등에서 수행한 수소 생산 플랜트 구축 및 수소 배관 구축 등 프로젝트 종합 수행 능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협력하게 된다.또한, 협약기관들은 이산화탄소를 포집,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도 접목하여 블루수소 생산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 Net Zero에도 기여한다는 계획이다.포스코플랜텍 민영위 신사업 센터장은 “앞으로도 모든 전문기업들에게 문을 활짝 열고 협업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수소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고 수소환원제철 및 수소산업의 발전에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