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1고로 첫 출선(용광로의 주철을 뽑아내는 일) 50주년을 맞아 포스코가 새로운 미래 100년 도약을 선언했다.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갖춘 철강 기업으로 성장한 지난 50년 역사를 바탕으로 이차전지와 친환경 사업을 토대로 새로운 100년의 미래를 개척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포스코의 새로운 미래 100년의 비전은 고로를 순차적으로 없애고 대신 석탄을 사용하지 않는 수소환원제철소를 지어 철강산업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또 국내 유일의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함께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을 중심으로 이차전지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신사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는 물론 철강 본연의 경쟁력 강화에도 성공해 국가와 국민 경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는 것이다.
지난 1973년 6월 9일은 포스코가 고로에서 쇳물을 뽑아내며 철강기업으로 첫발을 내디딘 날이다. 이날은 포항제철소 1고로에서 쇳물이 처음으로 생산된 날이며 1고로 앞에서 밤을 지새운 박태준 당시 포항종합제철 사장과 직원들은 첫 쇳물 출산에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기쁨의 만세를 부른 날이다. 착공에 들어간지 3년여 만에 첫 쇳물 생산에 성공하자 세계가 깜짝 놀랐고 포스코는 이제 세계 최고의 철강기업으로 우뚝섰다. 이제 포스코는 세계 최고의 철강기업을 넘어 글로벌 친환경 미래 소재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을 선두로 이차전지 업계의 최고 기업으로 우뚝 서주길 기대한다. 오늘날 포스코의 원동력은 제철보국(製鐵報國)과 `우향우 정신`이다. 1고로는 대일(對日) 청구권 자금으로 만들어졌지만 박태준 회장과 포스코 임직원들은 철강 생산으로 나라에 보답한다는 정신으로 피와 땀을 흘렸다. 그 당시 박태준 사장은 "조상의 핏값으로 짓는 제철소 건설에 실패하면 조상에게 죄를 짓는 것이니 목숨 걸고 일해야 한다. 실패하면 우리 모두 우향우 해서 영일만 앞 바다에 빠져 죽어야 한다"고 했다. 임직원들이 이런 죽을 각오로 무장하고 치열하게 노력하고 일했기에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기적을 만들 수 있었다. 창업자 박태준의 ‘우향우 정신’은 지금도 포스코인들에게는 정신적 지주가 되고 있다. 포스코는 이제 반세기를 넘어 새로운 미래 100년을 준비하고 있다. 포항에 이런 글로벌 기업이 있는 것도 큰 자랑거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