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준영기자]포항범시민대책위원회(포항범대위)의 과격시위에 대해 포항지역 사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갈등을 조장하는 범대위의 내부 문건이 공개돼 파장이 일고 있다. 더욱이 포항범대위의 과격시위를 우려하며 자제해줄 것을 당부하는 포항상의와 포항 3개 청년단체 등의 목소리를 비판하는 내용의 문구가 나왔고, 최정우 회장의 퇴출이 최종 목표라고 적힌 내용도 포함돼 상당한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9일 공개된 포항범대위 내부 문건을 보면 ‘집회와 관련 포항시의 중재 노력은 있었나’라는 제목 아래에는 ‘시민들 간에도 찬반 논란이 있다. 왜 중재하지 않은가’라고 돼 있다. 내용에는 ‘범대위와 포항시가 바라는 것은 상당부분 동일하다...포항시는 협상을 통한 포스코와의 합의이행을 완료하는 것임’이라고 적고 있다. 또 ‘포스코는 할 도리를 다해서 더 이상 해줄게 없다, 협상 자체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 배경에 최 회장이 더 이상의 합의이행 의지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돼 있다. 당초 포항시와의 약속대로 포스코가 이행했음에도 이를 부정하는 내용이다. 특히 포항범대위의 과격시위를 우려하며 자제를 당부하는 포항JC, 구룡포JC, 북포항JC 등 3개 청년단체의 성명문 발표에 대해 이사회 토의 없이 회장 혼자 작성해서 발표한 성명서라고 적고 있다. 그러면서 ‘그들의 성명서는 오로지 포스코의 입장만 대변하고 있으니 그 배경에 누가 있는지 짐작하고도 남는다’고 명시해 또다른 논란을 낳고 있다. 이에대해 청년단체는 회장이 독단적으로 처리하지도 않았고 집행부의 토의를 거쳐 정상적으로 발표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 문건은 포항상의도 비판하고 있다. ‘포항상의는 어떤 단체인가’라며 ‘포항제철소 행정부소장이 부회장으로 있고, 포스코 협력사 대표들이 임원이며 포스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분들이 임원으로 있다’고 돼 있다. 결국 상의는 포스코로부터 가장 많은 분담금을 받기 때문에 범대위 편이 아니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끝으로 포항범대위 문건은 ‘집회가 다가올수록 포스코의 선동, 회유, 협박이 강해질 것’이라며 ‘당분간 언론은 포스코 광고비에 의해 지속적으로 기사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적고 있다. 이는 정상적으로 보도한 지역의 일부 언론마저 매도한 전형적인 ‘가짜뉴스’로 법적인 책임론도 불거질 전망이다. 한편 포항범대위는 이와 관련해 12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