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준영기자]포스코-포항범대위의 갈등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지만 이를 풀어 줄 중재자나 목소리를 낼만한 진정한 큰 어른(원로)이 포항엔 없다보니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특히 병 치료로 부재중인 이강덕 포항시장의 영향도 어느정도 있지만 무엇보다 사태해결을 위해 쓴소리를 내고 중재할 큰 어른이 없었다는 점이 사태를 이처럼 키우게 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포항에 진정한 큰 어른이 없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포스코와 포항범대위의 갈등이 수년째 이어져 오고 있으나 이 갈등을 풀어주고 쓴소리를 낼 중재자나 원로는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부터는 포항의 순수 시민사회단체들이 나서서 사태해결을 위한 목소리를 내야 하지 않느냐라는 지적도 나온다. 언제까지 양측의 갈등을 구경만 하고 있어야 하느냐다. 포항시민들 역시 어떻게든 최악의 상황만큼은 막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제는 포항범대위의 과격시위다.포항범대위는 오는 15일 포스코 포항 본사 앞에서 1만여명이 참여하는 포스코 지주사 관련 범시민보고대회 및 최정우 회장 퇴진 총궐기대회 열 예정이다. 범대위의 이날 총궐기대회 땐 포스코 회장의 화형식까지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을 목전에 두고 있는 포항시로서도 답답한 입장이다. 화형식 같은 과격시위가 여과없이 중앙언론 등을 통해 보도될 경우 포항의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이날 화형식 대상의 포스코 회장이 이차전지 업체인 포스코퓨처엠의 수장이기 때문이다. 사실 포스코퓨처엠은 에코프로와 함께 포항을 대표하는 이차전지 업체로 이번 포항 특화단지 지정의 중심축을 맡고 있다. 더욱이 포항범대위의 이같은 과격 시위는 특화단지 지정 심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경쟁도시 울산과 군산에게도 빌미를 안겨주게 된다. 포항은 그동안 이차전지의 높은 인프라로 인해 사실상 특화단지 지정 0순위로 거론돼 왔으나 이번 사태로 인해 0순위의 입지가 흔들릴 위기에 놓여 있다. 또다른 문제는 포항범대위의 애매모호한 실체다. 이 단체가 과연 포항을 대표하는 시민단체인가라는 점에는 많은 이들이 의문을 제기한다. 포항에는 포항뿌리회, 포항지역발전협의회, 포항향토청년회 등 순수 시민단체들이 많다. 하지만 포항지역 29개 각 읍면동의 도움을 받아 조직을 움직이는 포항범대위를 순수 시민단체라고 규정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관변단체 성격에 가까운 조직이다. 한편 포항범대위는 이번 총궐기대회에 포항지역의 29개 읍면동 관변단체에 참여를 독려하는 협조공문을 최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