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경북도는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30`에 도내 33개 대학 중 16개 대학(일반대 13, 전문대 3)이 공모 신청했다고 1일 밝혔다. 일반 대학으로는 포스텍, 영남대, 금오공대, 대구가톨릭대-경일대-대구대 연합, 안동대-경북도립대, 한동대, 동국대(wise), 대구한의대, 경운대, 동양대, 경주대-서라벌대, 전문대학으로 대경대 등이다.글로컬대학 30은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공모사업으로 과감하게 혁신하는 지방대를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하고 대학 한 곳당 5년간 1000억원을 전폭 지원한다. 지정을 위한 첫 번째 관문인 예비지정 대학 평가 기준은 혁신성 60점, 성과관리 20점, 지역적 특성 20점으로 대학 안팎의 경계를 허무는 혁신성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따라 도내 대학마다 공개 의견 수렴, 혁신 추진위와 기획서 집필위들이 잇달아 꾸려지는 등 글로컬 대학에 사활을 걸고 파격적인 혁신안을 내놓고 있다.도내 최대 대학도시인 경산에서는 경일대, 대가대, 대구대 3개 대학이 ‘경북글로컬대학’을 통해 대학 간 벽을 허물어 국내 최대 규모 연합대학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영남대는 영남이공대와 재단 내 통합, 안동대와 경북도립대는 국공립대 통합과 더불어 공공연구기관 통합 운영 방안을 내놓았다.지역산업과 연계한 특성화도 활발하다. 포스텍는 포항을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육성을 목표로 산학협력 기반으로 벤처창업과 지역사회 역할 강화, 안동대는 경북 북부권 중심대학으로 전통문화 기반 인문특성화 대학을 지향한다. 금오공대는 현장성 강화를 위해 K-Star200체제를 구축한다. 그 외에도 주요 대학별 핵심 산업을 보면 한동대 ESG, 동국대wise SMR, 대구한의대 코스메틱·한방, 동양대학교 베어링, 경운대 항공, 경주대-서라벌대 문화관광, 대경대 엔터테인먼트 등을 특성화한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도내 대학이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되면 기업-지방정부-대학의 협력을 기반으로 대학 당 1000억원의 지방비를 추가 투자하고 글로벌 수준의 대학으로 키워 지방소멸의 방파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글로컬대학30` 사업에 전국 108개 대학이 신청서를 접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대는 31개교 중 25개교(80.6%) 공립대는 6개교 중 1개교, 사립일반대는 66개교 중 64개교(97%) 사립전문대는 63개교 중 18개교(28.6%)가 신청했다. 지역별로는 △부산 14건(16개교) △충남 14건(16개교) △경북 13건(14개교) △광주 8건(8개교) △대전 7건(9개교) △경남 7건(7개교) △충북 6건(8개교) △전북 6건(9개교) △전남 6건(6개교) △강원 5건(6개교) △대구 4건(6개교) △세종 2건(2개교) △울산 1건(1개교) △제주 1건(1개교)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