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여름독감(인플루엔자) 환자 수가 속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름독감 환자는 무더위가 오면서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지만 올해는 코로나19 방역 완화와 맞물리면서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또 갑자기 마스크를 벗은 영향도 한몫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29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올해 20주차(5월 14~20일) 외래환자 1천명당 독감 의심 증상을 보인 환자 수(의사환자 분율)는 25.7명으로 직전주(23.4명)보다 2.3 늘었다 2022~2023년 유행 기준(4.9명) 대비 5배 가까이 치솟았다.연령대별로 보면 13~18세(52.6명)와 7~12세(49.1명) 등 소아청소년 사이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19~49세(28.1명), 1~6세(29.5명), 0세(17.4명), 50~64세(10.5명), 65세 이상(6.5명) 등의 순이었다.여름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지난해 마지막주(12월 25~31일) 60.7명에서 올해 8주차(2월 19~25일) 11.6명까지 떨어진 뒤 다시 오르고 있다. 특히 올해 20주차 의사환자 분율은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시기 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대부분 5명 미만의 낮은 수준이었다.전문가들은 이 같은 여름독감 유행에 대해 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의사환자 분율도 대중교통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3월20일) 시점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독감 외에도 아데노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 바이러스성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 환자 수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