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고독사 위험군 153만 명 가운데 50~60대의 비율이 가장 높다고 한다. 전체 1인 가구가 717만 명이므로 5명 중 1명이 위험군에 포함된 셈이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1인 가구 9400여 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교류, 식사 횟수 등을 토대로 추정했고, 고독사는 우리 주변에서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는 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과 단절돼 홀로 사는 사람이 혼자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에 발견되는 죽음’으로 정의된다. 2021년 3378명이 고독사했다. 2017년보다 무려 40%나 늘었다. 1인 가구 중에서 연고가 없거나, 가족이 있어도 연락이 끊어지면 고독사의 위험은 높아진다. 고독사 위험군은 고령층이 다수일 것 같지만 실직, 이혼 등으로 경제력이 취약해진 40∼60대 중장년층이 훨씬 많다. 이들 중에는 쪽방 고시촌 등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변변치 않은 수입으로 살면서 자포자기에 빠져 스스로 고독사를 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독사는 개인의 불행을 넘어 사회적 문제다. 영국과 일본이 정부 내 고독 문제를 전담하는 부처를 만든 건 이 때문이다. 최근 미국에선 고독이 심장병 뇌졸중 치매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공중보건 정책의 우선순위에 놓아야 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일할 여력이 충분한 50~60대 중장년층이 고립에 빠지면 사회적 생산성이 떨어지고, 건강 악화 등으로 의료비용 지출도 늘어난다.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추이를 볼 때 고독한 사람들의 인구 비율 역시 크게 늘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위험군이 더 커지기 전에 찾아내고 지원하는 정부의 사회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정부가 소득, 보험료 체납 등 몇 가지 기준으로 고독사 징후를 찾아내려 하지만 한 가지 기준만 어긋나도 못 찾는 경우가 많다. 문을 닫은 자발적 고립은 정책만으론 찾아내기 어렵다. 가족 친구 이웃이 먼저 안부를 묻고 위로하는 등의 비공식적 지원이 마음을 열 수 있다. 고독사는 외로운 죽음이 아니라 외로운 삶의 결과다. 이제 50~60대의 고독사 만큼은 반드시 막겠다는 정부의 정책과 의지가 절실히 요구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