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전기, 가스요금이 올랐다. 올 여름 서민들의 부담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5차례에 걸친 인상이어서 전기로 업체인 현대제철을 비롯 경제주체들의 부담도 덩달아 커지게 됐다. 이번 요금 인상으로 대구경북의 가계는 올 여름 ‘냉방비 폭탄’을, 포항철강산단과 구미 국가산단은 수십억에서 수백억원대의 전기료 폭탄을 맞게 됐다.정부는 전기요금과 도시가스 요금을 ㎾h당 8원, MJ(메가줄) 당 1.04원 올려 16일부터 각각 인상했다. 현행보다 5.3% 인상한 것으로 4인 가구 기준 한달에 약 7400원을 더 부담하게 됐다. 하지만 한국전력(적자 33조원)과 한국가스공사(미수금 11조원)의 재정상황을 고려하면 연내 또 다시 추가 인상할 가능성도 엿보인다. 당장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포항, 구미 산업계는 아우성이다. 산업용 전기요금이 조금만 오르더라도 제조원가는 무조건 올라가는 후폭풍이 예고된다. 철강·비철금속 등 전기 다소비형 제조업체들이 즐비한 포항철강산단의 타격은 불을 보듯 뻔하다. 또 유난히 무더울 올 여름, 서민들은 냉방비 걱정부터 앞선다. 결국 해답은 전기요금 인상 부담을 최소화하는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도입뿐이다. 원전 발전소가 있는 경북을 비롯 울산·부산·광주·경남·전남·전북 등 8개 시도에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를 적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관련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이 지난 16일 국회 법사위를 간신히 통과하면서 9부 능선을 넘었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원전집적도시에 전기료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환영할만한 일이다.경주와 울진 등 경북의 ‘핵도시’는 항상 불안속에 있다. 이런 위험을 무릅쓰고 대규모 전력을 생산해 서울과 수도권 등지로 보내고 있는데도 정부의 위험 보상은 한 푼도 없다. 경주와 울진 등 생산지가 있는 경북이 전력 주 소비지 서울, 수도권의 전력 요금을 똑같이 적용한다는 것은 매우 불합리하고 불공평한 일이다. 이철우 경북지사가 여당 주요 인사들에게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적용을 거듭 요청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지역별 차등 요금제는 지역균형발전과 국민 눈 높이 차원에서라도 반드시 시행돼야 한다. 그것이 발전소 주변지역민들의 불만을 잠재우는 유일한 방안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