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음주운전자가 애초에 차를 운전할 수 없도록 하는 신기술이 나와 관심을 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뒤 음주측정 장치에 숨을 불어넣는 방식으로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돼 있다. 이 장치는 차량의 시동 계통과 연결돼 있어 호흡에서 알코올이 감지되면 아예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차단한다.미국의 여러 주(州)에서 음주운전 전과자들을 대상으로 이 같은 장치를 도입해 재범률을 줄이는 효과를 봤다. 국내에서도 일부 업체가 이미 기술을 개발해 제품까지 내놨으나, 관련 입법이 이뤄지지 않아 보급되지 못하고 수출용으로만 판매하고 있다.현재 상용화된 수준의 기술로도 음주운전 심리를 억제하는 효과는 충분히 낼 수 있다는 게 학계나 관계기관의 평가다. 다만 술을 마시지 않은 제3자의 `대리 측정`이나 장치 조작·훼손 등으로 시스템의 통제를 피하려는 꼼수가 자행될 가능성도 있어 한층 더 진보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협업하는 연구 프로젝트 `안전을 위한 운전자 음주감지 시스템`(DADSS)은 차량과 음주운전 방지 장치가 완전히 일체화해 운전자의 의식에 개입하지 않으면서 높은 측정 정확도까지 담보하는 수준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이 프로젝트에서 개발 중인 호흡 기반 기술은 민감도가 매우 높은 광학 센서를 이용해 운전자의 일상 호흡에서 알코올 유무를 측정한다. 운전자가 능동적으로 장치에 호흡을 불어넣는 기존 방식과 달리 차량에 탑승해 평소처럼 숨을 쉬는 것만으로도 혈중 알코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운전자가 아닌 제3자가 터치패드에 손을 대 음주 감지를 무력화하지 못하도록 대비책도 개발 중이다. 운전석에 사람이 앉으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운전자 존재 감지기와 연동하는 기술이 한 예로 거론된다. 터치패드 접촉자가 운전자와 다른 인물임을 감지하면 음주 측정을 무효화하는 방식이다.DADSS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는 한국의 현대자동차와 기아를 비롯해 메르세데스-벤츠, BMW,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도요타, 스텔란티스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지원한다.한편 지난달 대전 스쿨존 내 음주운전 사망사고를 계기로 국내에도 음주운전 방지 장치가 본격적으로 도입될 가능성이 커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