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박광온 신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예방해 윤석열 대통령과의 회동을 제안했다. 미국 국빈 방문을 마친 윤 대통령이 외교 성과를 여야 원내대표에게 설명하는 방식의 만남을 갖자는 것이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당대표를 먼저 만나는 게 순서”라면서 거절했다. 윤 대통령이 취임 이후 이재명 대표와 회동한 적이 없는데 원내대표를 먼저 만나는 건 적절치 않다는 취지다.  민주당 내에서는 대통령실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이재명 대표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윤 대통령과의 회담을 제안했음에도 응하지 않다가 비명계인 박 원내대표가 선출되자 ‘이재명 패싱’에 나섰다는 주장이다.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윤 대통령과 야당 지도부의 공식 회동이 이뤄진 적이 없는 만큼 야당에서 볼멘소리를 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윤 대통령은 당선이 확정된 뒤 “의회와 소통하고 야당과 협치(協治)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런데도 취임한 지 1년이 다 되도록 야당을 외면해 온 건 사실이다. 그렇더라도 민주당이 회동 형식을 문제 삼아 대통령실이 내민 대화의 손을 뿌리친 건 예의가 아니다. 윤 대통령이 야당 대표를 먼저 만나는 게 바람직하다고 해도 이것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윤 대통령과 박 원내대표의 회동을 시작으로 협치(協治)의 외연을 넓혀나갈 수도 있는 일이다.   지금 국내 절박한 현안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수출 부진과 무역수지 적자, 원화 약세 등으로 나라경제에는 적신호가 켜졌다. 또 민생 문제만 해도 전세사기 대책 마련이 발등의 불이고, 간호법 처리의 후폭풍도 거세다. 북한의 핵 위협도 초당적 대응이 매우 긴요한 사안이다. 대통령실과 야당이 회동 형식을 따질 만큼 한가한 상황이 아닌 것이다. 취임 이후 20∼30%대의 지지율에 갇힌 윤 대통령은 ‘지지율에 연연하지 않은 채 국민만 바라보고 가겠다’고 해왔다. 하지만 이런 오만과 독선으로는 국정운영 동력을 회복할 수 없다. 지금이라도 윤석열 정부는 겸허히 민심에 귀를 기울이고, 야당과의 협치(協治)에 나서야 한다. 이번 회동은 무산됐지만 협치(協治)의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 윤 대통령은 더 적극적으로 야당에 손을 내밀어야 한다. 야당의 협조 없이는 어떤 정책도 실행할 수 없는 게 ‘여소야대’의 현실임을 잊지 말기를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