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국내 5대 시중은행이 코로나19로 지난 3년 동안 영세 소상공인·중소기업 등에 미뤄 준 대출(원금, 이자 포함)이 무려 37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지난 3년간 2030세대의 ‘영끌 빚투’(영혼까지 끌어모아 빚내서 투자)는 110조원 늘어 무려 51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돼 ‘제2 카드대란’이 예고되고 있다.  은행권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되자 정부 방침에 따라 중소기업과 영세 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했다. 당초 만기 시한은 2020년 9월이었지만 코로나19 여파 장기화로 지원 종료 시점을 5차례나 연장했다.10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금융 지원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원이 시작된 이후 지난 4일까지 여러 형태로 원금, 이자 납기를 연장한 대출 잔액은 36조6206억원, 건수로는 25만9594건(만기연장·원금상환 유예·이자유예 중복)인 것으로 나타났다.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은 모두 34조8135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1조5309억원도 받지 않고 미뤄줬고(원금상환 유예), 같은 기간 이자 2762억원도 유예됐다. 결국 5대 시중은행의 37조원 잠재 부실 대출은 ‘부채 시한폭탄’으로 돌아 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시중은행 뿐만 아니라 제2금융권 등에서 빌린 돈을 못 갚아 법원, 신용회복위원회에 채무 조정을 신청한 개인이 1분기에만 무려 7만명을 넘어섰다. 법원 개인회생 신청자가 3만여 명,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신청자가 4만여명이다. 이중 절반이상이 ‘영끌 빚투’를 한 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금융 당국은 지난해 9월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대출 만기를 금융권과의 자율 협약에 따라 최장 3년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환 유예의 경우 최장 1년간 다시 미뤄줬다. 재연장 결정이 없다면 오는 9월부터 상환 유예 대상 대출자부터 금융지원이 사실상 종료되는 만큼 은행권은 하반기 대규모 대출 부실이 현실화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정부는 이 때까지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임시방편인 시간 끄는 것으로 일관해 왔다. 코로나 사태 이후 원리금 상환을 유예해준 자영업자 57만명의 빚 141조원을 또다시 3년간 만기 연장하는 조치도 취했다. 결국 ‘부채 시한폭탄’을 일시적으로 봉합한 것에 불과하다. 금융회사들이 체감하는 가계의 신용위험도는 지난 2003년 카드 대란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