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특화도시이자 집적도시인 포항에 투자가 몰리고 있다. 포스코퓨처엠과 중국의 절강화유코발트가 1조7000억원을 포항에 쏟아 붓는다. 포항이 이차전지 특화도시로 그만큼 투자에 매력적인 도시로 꼽히기 때문이다. 이번 대기업의 투자로 올 상반기 정부가 지정할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포항이 선정될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졌다. 포스코퓨처엠과 절강화유코발트는 이번에 1조7000억 원을 투자, 양극재용 전구체와 음극재 생산 능력 확대에 나선다. 새로운 투자로 인해 만들어지는 제조 시설은 2027년 포항 블루밸리산업단지 안으로 들어온다. 이 투자 결정을 발표한 포스코퓨처엠은 포항 영일만 일반산업단지에 건설 중인 양극재 생산공장과 연계, 니켈-전구체-양극재를 연결 짓는 클러스터를 포항에 구축하기로 했다.또 포스코퓨처엠 외에도 올 들어서만 포스코실리콘솔루션 실리콘 음극재 3000억 원, 포스코 이차전지용 산소 플랜트 1000억 원 등 막대한 규모의 이차전지 업계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포항에는 포스코퓨처엠을 비롯해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등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목받는 이차전지 업체들이 자리잡고 있다. 이제 포항은 `글로벌 K-배터리 허브 도시`라는 이름이 전혀 어색하지 않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포항은 그동안 철강산업 중심 도시에서 이제 이차전지 특화도시로 대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포항은 철강산업이 쇠락하면서 한때 큰 위기를 맞았던 미국 철강도시 피츠버그가 연상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 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게 됐다. 이차전지로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고 있고 국내 이차전지 특화도시로 우뚝서게 된 것이다. 국내외 대기업들이 너도나도 포항에 투자를 하는 것만 봐도 정부의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은 이제 시간문제다. 더욱이 포항은 기업뿐만 아니라 포스텍 등 우수한 연구 인프라와 양질의 인력까지 갖추고 있다. 포항이 정부의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더 많은 기업들이 투자할려고 포항으로 달려 올 것이다. 철강도시 포항이 이차전지 특화도시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내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