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였던 사람이 100세까지 장수하는 비율로 봤을 때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2개 국가 중 26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인 원광대 보건복지학부 교수(한국보건복지학회장)는 경제협력기구(OECD) 소속 32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1961년 당시 50~54세였던 사람이 2011년 100세를 넘겨 장수하는 ‘100세인 도달율’을 비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14일 밝혔다. 61년 당시 비교 연령대를 50~54세로 잡은 것은 유엔(UN)의 인구 통계치가 5년 단위로 기록돼 있기 때문이다. 이번 분석결과를 담은 논문은 보건복지 분야 국제학술지(BMC International Health and Human Rights) 최근호에 발표됐다. 논문을 보면 OECD 국가 중 100세인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이었다. 일본은 61년 50~54세 사이 연령대가 423만명이었는데 이중 4만9천명이 2011년 기준으로 100세 이상을 장수했다. 인구 1만명당 100세인 도달률(50~54세 인구로 100세인 인구를 나눠 1만을 곱한 값)은 116.8%나 됐다. 캐나다가 100세인 도달률 70%로 2위를 차지했는데 일본과는 46.8% 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다음으로는 스위스(63.1%), 호주(59.6%), 프랑스(59.3%), 미국(58.1%), 이스라엘(53.6%), 이탈리아(44.4%), 아이슬랜드(42.7%) 등의 순으로 100세인 도달률이 높았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