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울릉도에서 날개응애류의 신종후보종 2종과 한국미기록종 6종 등 신규 생물 8종이 처음 발견됐다.
울릉도에는 이번에 새로 발견된 신종 생물을 비롯해 총 661종의 동·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발견은 국립중앙과학관, 산림청 국립수목원 등이 공동으로 추진해 지난 25일 공개한 2022년 공동학술조사 결과보고서 `경북도 울릉군 일대의 생물다양성`에서 밝혀졌다.보고서는 지난해 울릉도・독도에서 진행한 기관연합의 공동학술조사 결과를 담았다. 조사에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수목원, 국립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22개 유관기관 소속 108명의 생물다양성 전문가가 참여했다.조사결과에 따르면 울릉도·독도에는 곤충 259종, 식물 216종, 조류 74종, 어류 10종, 버섯 50종, 해양생물 144종, 거미 및 날개응애류 107종 등 661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특히 서면 태하령에서 날개응애류의 신종후보종 2종과 한국미기록종 6종이 국내 최초로 확인됐다. 날개응애류는 거미강 날개응애목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유기물과 곰팡이, 선충류와 절지동물, 환형동물 등 작은 동물이나 그 사체를 먹어 토양형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날개응애류는 세계적으로 12만여 종, 국내에는 436종이 있는 것으로 공식 보고됐다. 새롭게 발견된 날개응애류에 대해서는 국제전문학술지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울릉군에 발생하는 버섯은 299종이 보고돼 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갈색자루접시버섯, 배꼽컵주발버섯, 흰갈대버섯, 혓바늘목이 등 20종이 새롭게 추가됐다.어류는 울릉도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참갈겨니와 검정꾹저구를 비롯한 총 4과 5종이 관찰됐다. 이중 참갈겨니는 이전 미꾸리와 동사리의 사례처럼 내륙으로부터의 인위적 유입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은 26~27일 국립대구과학관에서 총회를 열어 이번 조사의 성과를 평가한다.국립중앙과학관장은 "이번 공동학술조사를 통해 한반도 및 울릉도·독도 일대의 분류, 계통 및 생물지리학적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