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경북의 3가구 중 1집은 혼자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경북 청년층 1인가구 특성 분석`에 따르면 2021년 경북의 1인가구 비중은 36%로 전국 평균(33.4%)보다 높았다. 2050년에는 무려 41.9%까지 증가해 전국 평균(39.6%)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됐다.2016년부터 2021년까지 5년 간 일반가구원 대비 1인가구 비중은 모든 연령계층에서 증가하는 가운데 청년층(37.7%)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청년층 중에서 1인가구 비중이 가장 큰 연령대는 2016년 20-24세(19.9%)에서 2021년 25-29세(26%)로 바뀌었다.청년층 1인가구의 5년 전 거주지가 타 시·도인 비중은 47.8%였다. 연령대별로는 15-19세(73.4%), 20-24세(67.7%)에서 타 시·도 비중이 높았다. 5년 전 거주지로는 수도권이 대구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13.3%), 대구(13.1%), 동남권(11.1%) 등의 순이다.5년 전 2인이상 가구에서 2021년 1인가구로 전환된 청년층의 주된 거처형태는 아파트 비중이 감소하고 다가구 단독주택 등의 거처형태가 크게 증가했다. 2016년 2인이상 가구의 거처형태는 아파트(54.4%)가 가장 높았지만 1인가구로 전환된 2021년에는 다가구 단독주택의 비중(45.2%)이 가장 높았다.연령대별로는 15-34세에서 다가구 단독주택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35-39세에는 아파트 비중이 가장 높았다. 20-24세 연령대 이후 다가구 단독주택은 감소해 35-39세에는 29.3%인 반면 아파트는 20-24세 연령대 이후 점차 증가해 35-39세에 38.7%까지 증가했다.청년층의 1인가구 사유는 본인직장(53.8%), 본인학업(20.5%), 본인독립(19.2%), 가족사유(4.6%) 순이며 연령대별로 보면 24세 이하는 본인학업, 25세 이상은 본인직장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본인독립 사유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비중이 커져 35-39세의 경우 28.9%까지 상승했다.청년층 1인가구의 혼인상태는 미혼(92.9%)이 가장 많았고 배우자 있음 5%, 이혼 2%, 사별 0.1% 순이다. 연령대가 높아짐에 따라 배우자있음과 이혼이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특히 35-39세에서 배우자있음 14.1%, 이혼 6.7%로 나타났다.1인가구 청년층의 취업률은 69.8%로 2인이상 가구 청년층(49.6%)에 비해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의 취업률(87.3%)이 가장 높았고 35-39세(85.5%), 25-29세(80.5%) 등의 순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