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6ㆍ25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60주년이 되는 해다. 그 동안 대한민국은 세계가 놀랄만한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루고 OECD 회원 국가로 우뚝 서는 등 국제적 위상은 한껏 높아졌다. 그러나, 세계 유일의 분단 국가라는 현실은 아직도 그대로다.
6ㆍ25전쟁 정전협정은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UN군 총사령관 마크 클라크(Mark Clark)와 북한군 최고사령관 김일성, 중국 인민지원군 사령관 펑더화이(彭德懷)가 서명함으로써 체결됐다. 남한의 누구도 참석하지 않은 채 체결된 이 정전협정은 60년이 지난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북한은 3대를 거듭하며 선군 제일주의를 표방하며 끊임없는 위협과 기습 도발을 감행하고, 국제사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핵을 탑재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의 개발과 멈추지 않는 핵실험을 지속하며 세계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
6ㆍ25전쟁 정전협정 60주년이 되는 올해 우리는 조금의 방심으로도 언제든 전쟁이 발발할 수 있는 분단국가의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각계각층에서 활동하고 있는 종북 세력과 위장 탈북 세력들에 대한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될 것이다.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해, 자유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바탕으로 국가관과 애국심을 바로 세워 국가안보 의식을 더욱 공고히 하여야 한다.
특히, 6ㆍ25전쟁을 잘 모르고 자유와 풍요 속에 자라난 젊은 세대들에게 잊혀져 가는 6ㆍ25전쟁의 의미와 교훈을 되새겨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국가 안보의식 함양을 위한 나라사랑 교육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겠다.
또한, 세계 평화와 자유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참전하여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해 준 많은 분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여 그들의 희생과 공헌이 헛되지 않았음을 알림으로써 국가적 위상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선진 일류, 통일 국가 대한민국을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하는 것이 오늘을 사는 우리의 책무일 것이다.
대구지방보훈청 복지과 김미숙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