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이인선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 수성구을)은 12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EU-CBAM 등 글로벌 탄소규제 국내 철강산업 대응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이날 토론회에는 박성민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 박수영 여의도연구원장을 비롯해 권명호, 김성원, 김용판, 김승수, 김영식, 김정재, 류성걸, 백종원, 신원식, 임병헌, 조은희, 최형두, 황보승희, 한무경, 하태경 의원이 참석했으며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박영순, 이용빈, 이용선, 정일영, 홍정민, 무소속 양향자 의원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아울러 변영만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과 발제를 맡은 이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그리고 토론자로 함께한 강준하 홍익대학교 교수, 오충종 산업부 철강세라믹과장, 김경한 포스코 부사장, 신승훈 현대제철 상무, 이도연 아주스틸 본부장, 이재윤 산언엽구원 실장 등이 참석했다.파리협정에 따라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전 세계는 국가별로 감축 목표를 설정했으나 자국의 이해를 최우선으로 하는 일방주의적 기후-통상정책 도입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럽연합(EU)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제도를 도입해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량만큼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도록 강제하고 있는데, 앞으로 유사한 제도들이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대한민국은 EU에 철강을 5번째로 많이 수출하는 국가로 수출액은 2021년 43억 달러에 이르며 CBAM 대상 수출업종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발 빠른 대응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축사를 통해 “국내 철강업계가 글로벌 탄소규제를 앞두고 어려움과 두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여당 원내대표로서 지혜를 모으고 돌파구를 찾아 산업계의 애로사항을 풀어나가겠다”고 했다.발제를 맡은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철강산업은 對 EU 수출액이 가장 많은 업종으로 전환 기간 동안 플라스틱, 유기 화학품으로 대상 품목을 확대 검토 예정”이라며 “2021년 對 EU 수출액이 플라스틱 50억 불, 유기 화학품 18억원에 달하는 품목에도 영향확대가 우려된다”고 전했다.이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탄소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의 경쟁적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며 “선진국 위주의 일방주위적 통상 규칙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선진국과 개도국 간 격차를 내며 개도국 환경정책에 정치적 영향을 주는 수단”이라며 탄소 통상질서 변화 방향을 살폈다.이어진 전문가 토론에서는 “고로와 전기로를 구분해 규제할 경우 탄소 배출량이 현저히 작은 전기로 역차별이 있을 수 있다”는 미국의 철강회사 누코(Nucor) 등 주요 철강기업들의 탄소 감축 관련 입장과 “컬러강판 도료 사용시 탄소배출이 많은 가열건조형 도료 대신 UV도료사용 확대”하는 철강 산업현장의 노력을 알리며 산업 기술 개발 지원의 필요성과 탄소배출 저감 활동 관련 비용 지원을 요청했다.이인선 의원은 “국제사회의 탄소 장벽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건설적인 대안을 도모하는 자리였다”며 “글로벌 탄소규제를 지혜롭게 대처해 나간다면 규제라는 산을 맞닥뜨린 철강산업 위기가 기회로 전환되고 재도약이 함께 추진될 것”이라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이인선 의원 “국제사회 탄소 장벽 효율적 대응”…국회서 ..
뉴스

이인선 의원 “국제사회 탄소 장벽 효율적 대응”…국회서 토론회

조필국 기자 cpkcomkid@ksmnews.co.kr 입력 2023/04/12 21:35
일방주의적 기후ㆍ통상정책 도입↑
관련 국내 철강산업 대응방안 모색
“지혜롭게 대처해 위기를 기회로”

↑↑ EU-CBAM철강산업대응방안토론회

[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이인선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 수성구을)은 12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EU-CBAM 등 글로벌 탄소규제 국내 철강산업 대응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박성민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 박수영 여의도연구원장을 비롯해 권명호, 김성원, 김용판, 김승수, 김영식, 김정재, 류성걸, 백종원, 신원식, 임병헌, 조은희, 최형두, 황보승희, 한무경, 하태경 의원이 참석했으며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박영순, 이용빈, 이용선, 정일영, 홍정민, 무소속 양향자 의원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아울러 변영만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과 발제를 맡은 이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그리고 토론자로 함께한 강준하 홍익대학교 교수, 오충종 산업부 철강세라믹과장, 김경한 포스코 부사장, 신승훈 현대제철 상무, 이도연 아주스틸 본부장, 이재윤 산언엽구원 실장 등이 참석했다.

파리협정에 따라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전 세계는 국가별로 감축 목표를 설정했으나 자국의 이해를 최우선으로 하는 일방주의적 기후-통상정책 도입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럽연합(EU)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제도를 도입해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량만큼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도록 강제하고 있는데, 앞으로 유사한 제도들이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대한민국은 EU에 철강을 5번째로 많이 수출하는 국가로 수출액은 2021년 43억 달러에 이르며 CBAM 대상 수출업종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발 빠른 대응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축사를 통해 “국내 철강업계가 글로벌 탄소규제를 앞두고 어려움과 두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여당 원내대표로서 지혜를 모으고 돌파구를 찾아 산업계의 애로사항을 풀어나가겠다”고 했다.

발제를 맡은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철강산업은 對 EU 수출액이 가장 많은 업종으로 전환 기간 동안 플라스틱, 유기 화학품으로 대상 품목을 확대 검토 예정”이라며 “2021년 對 EU 수출액이 플라스틱 50억 불, 유기 화학품 18억원에 달하는 품목에도 영향확대가 우려된다”고 전했다.

이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탄소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의 경쟁적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며 “선진국 위주의 일방주위적 통상 규칙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선진국과 개도국 간 격차를 내며 개도국 환경정책에 정치적 영향을 주는 수단”이라며 탄소 통상질서 변화 방향을 살폈다.

이어진 전문가 토론에서는 “고로와 전기로를 구분해 규제할 경우 탄소 배출량이 현저히 작은 전기로 역차별이 있을 수 있다”는 미국의 철강회사 누코(Nucor) 등 주요 철강기업들의 탄소 감축 관련 입장과 “컬러강판 도료 사용시 탄소배출이 많은 가열건조형 도료 대신 UV도료사용 확대”하는 철강 산업현장의 노력을 알리며 산업 기술 개발 지원의 필요성과 탄소배출 저감 활동 관련 비용 지원을 요청했다.

이인선 의원은 “국제사회의 탄소 장벽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건설적인 대안을 도모하는 자리였다”며 “글로벌 탄소규제를 지혜롭게 대처해 나간다면 규제라는 산을 맞닥뜨린 철강산업 위기가 기회로 전환되고 재도약이 함께 추진될 것”이라고 했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