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경련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발표내용을 보면 대구·경북 지역이 소멸할 수 있다는 설문조사 응답 비율이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지역에 거주하는 국민 10명 중 7명은 올해 지역 경제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체감 경기 수준은 전년의 82.5% 수준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체감 경기 수준을 지역 별로 보면 대구(전년 대비 81.4%), 경북(82.2%), 광주(77.8%), 전북(78.2%), 충북(79.8%), 부산(80.4%), 전남(80.5%), 제주(80.7%)가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응답자의 72.0%는 올해 지역 일자리가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체감 일자리 수준은 전년의 82.5%에 불과했다.특히 전체 응답자 가운데 49.4%는 거주지역이 소멸(경제위축과 고령화 등으로 지역 기능 상실)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중 64.0%는 20년 이내에 소멸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 별로 지역 소멸 가능성에 대한 응답은 엇갈렸다. 대구, 경북, 전북, 울산, 전남, 강원에서는 지역이 소멸할 수 있다는 응답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부산, 제주, 대전, 충북, 경남, 충남, 광주, 세종에서는 지역 소멸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봤다.또 응답자의 41.1%는 미래에 거주지를 떠나 수도권으로의 이주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세대별로는 20대(64.4%), 30대(41.7%), 40대(39.2%), 50대(36.1%), 60대 이상(28.3%) 순이었다. 수도권 전입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20대가 60대 이상보다 약 2.3배 높았다. 수도권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주요 이유로는 열악한 일자리 여건(47.4%), 문화·휴식시설의 부족(20.9%), 보건·의료시설 접근성 미흡(20.4%) 등이 꼽았다.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경북 인구는 2020년 이미 지방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한 반면 대구 인구의 소멸 위험은 현재로서는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2040년 전·후로는 대구와 경북 모두 고위험단계 진입이 예상됐다.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수도권 집중 해소와 지방 발전이 병행돼야 한다. 현실적으로 이러한 두 가지 방안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다.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상호 협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문제를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성장동력을 만드는 청년이 지역에 정주토록 하려면 삶의 만족도와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 마련과 함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지방대학에 전폭적인 투자로 청년 탈출을 막아야 한다. 그리고 지역에서도 소중한 존재임을 느낄 수 있게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한 지원을 펼쳐야 한다. 청년이 지역에서 삶의 만족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결국 지역소멸 예방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