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대구시는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에 발맞춰, 대구형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의 일환으로 ‘대구 행정데이터맵 구축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재)대구테크노파크와 22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현재 업무부서 및 구·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각 개별 시스템에서 설계된 데이터의 종류, 형태 등이 다양하고 단절돼 있어 데이터의 통합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이에 대구시는 각 시스템별로 개별 관리돼 활용성이 저조한 데이터 통합을 위해 ‘대구 행정데이터맵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업무협약을 22일 (재)대구테크노파크와 체결했고, 오는 11월까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대구시는 이번 행정데이터맵 구축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지역에 산재된 공공데이터 통합관리 방안 수립 △공공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치 있는 데이터 생산·가공·활용 체계 마련 △행정데이터맵 구축 이행계획, 추진 로드맵 및 실행 과제 등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번 행정데이터맵 기본계획 수립에 국내 전산학 분야의 권위자인 ‘KAIST 문송천 명예교수’가 자문위원장으로 참여해 지역에 구축된 데이터시스템 및 플랫폼 간 통합·관리방안,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한 자문 등 행정데이터맵 수립을 위해 전반적인 기술자문을 할 예정이다.그간 대구시는 데이터 인식 저변 확산과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해 D-데이터허브, 빅데이터 활용센터 등을 구축해 분야별 각종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경진대회, 오픈스퀘어-D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 서경현 미래ICT국장은 “‘대구형 행정데이터맵’ 구축을 통해 대구시 행정 데이터를 대통합해 대구 시민들의 데이터 활용률을 높이고, 빅데이터 기반 대시민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