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반대 포항시민행동’(경북생명의숲 등 6개 단체 공동대표)은 3월 10일 후쿠시마 원전 참사가 난지 12주년(2011년 3월 11일)을 맞이하여 포항 죽도시장 앞에서 일본정부가 올해 예정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규탄 및 반대 캠페인을 전개하였다.후쿠시마오염수방류 규탄 성명서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오염수(약 125만t)의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춘 뒤, 빠르면 올 4월, 늦어도 올해 여름부터 장기간(약 30년)에 걸쳐 바다에 방류할 예정이다. 어민 피해 등을 고려해 원전이 위치한 해안에서 1㎞ 길이의 해저터널(6월 완공 예정)을 새로 만들어 이곳을 통해 오염수를 배출할 예정이다.”며 “일본정부는 방사능 오염수를 농도 기준치 이하로 희석하여 방출하고 있어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오염수 방출에 대한 총량 기준이 없어 결국 유출된 방사능 물질이 해양 생태계와 사람에게 축적될 것이 자명하다. 삼중수소도 제거하지 못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는 여러 가지 기술적 한계를 안고 있으며 걸러내지 못한 수많은 방사성 물질은 수십 년, 수백(천, 만)년 동안 해양생태계와 인류를 위협할 것이다.”고 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어떤 경로로 일본산 수산물이 들어와 우리의 식탁을 교란할지, 잘못된 정보나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며 “우리가 사는 포항시는 동해안의 주요 어업 전진기지로서 전국 최대 규모의 문어·대게·과메기 등 수산물 생산도시이다. 수산물 유통 거점지역이자 동해안 대표 해양관광 도시이다. 일본이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게 되면 우리 지역 경제는 엄청난 피해가 예상되며, 나아가 태평양 연안 도시들의 생명권과 전 세계의 해양 환경에도 큰 피해를 끼치게 된다”고 주장했다.또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하여 경북도의 대응은 방사능 검사장비 구축(2대)에서 추가 구축(4대)하여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와 동해안 전어종을 대상으로 검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경남, 제주 등 타도시에 비해 예산 및 준비가 미흡한 것은 사실이다.”며 “제주도의 경우 오염수 방류에 따른 피해조사와 대응수립계획 용역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안정성 홍보, 수산물 소비심리 회복, 수산물 수급가격안정기금 118억원을 예산을 편성하여 체계적인 검사와 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경북도에서도 추가 예산을 투입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포항시민행동’은 지난 2021년 7월 21일 포항시청광장에서 일본 정부의 소극적이고 무책임한 대응에 분개하며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을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청코자 6개 시민단체(경북생명의숲, 포항녹색소비자연대, 포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포항환경운동연합, 포항YMCA, 포항YWCA)가 연합하여 출범하였고, 기자회견 및 규탄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지난 9월에는 경북도, 포항시 등 15개기관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포항시민은 안전한가’ 간담회를 개최한바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캠페인을 시내일원에 전개할 계획이라고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