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의료진이 간이식 수술을 포기했던 러시아의 간경변 환자가 한국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고 건강을 되찾았다. 6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알코올성 간경변으로 생명이 위독했던 러시아의 알렉세이(27) 씨가 유일한 치료법인 간이식 수술을 받기 위해 일본의 홋카이도 대학병원을 찾은 때는 지난해 12월. 일본은 1993년 세계 처음으로 성인 생체 간이식에 성공했을 정도로 세계 간이식 수술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홋카이도 대학병원은 일본의 3대 간이식 센터 중 하나로 손꼽히는 곳이다. 하지만 그는 이 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할 수 없다는 얘기를 듣고 절망했다. 환자의 상태가 심각할 뿐 아니라 간을 기증하기로 한 환자의 어머니 에레나(50) 씨와 이모 갈리나(48) 씨 역시 간의 크기가 작아 생체 간이식이 불가능하다는 게 이유였다. 알렉세이 씨에게 마지막으로 고려할 수 있는 치료법은 두 명의 기증자로부터 동시에 간을 이식받는 ‘2대1 간이식’이었지만 일본은 2대1 간이식 경험이 거의 없어 일본 내에서는 수술하기 어렵다는 게 현지 의료진의 결론이었다. 이에 훗카이도 대학병원 의료진은 생체 간이식과 ‘2대1 간이식’ 부문에서 세계 최다 수술 건수를 기록하고 있는 서울아산병원으로 수술을 의뢰해왔다. 서울아산병원 이승규 교수는 “훗카이도 대학병원의 주치의였던 아오야기 타케시 교수가 환자의 치료를 의뢰해왔다”고 설명했다. 결국 작년 12월 28일 어머니, 이모와 함께 서울아산병원에 입원한 알렉세이 씨는 올해 1월 16일 성공적인 수술을 받고 건강을 회복해 5일 퇴원했다. 그는 건강을 되찾고 난 뒤 “처음부터 일본이 아닌 한국을 찾았더라면 더욱 편하게 수술을 받았을텐데 사서 고생한 것 같다”고 말했다고 병원 측은 전했다. 이 교수는 “일본에서 연락을 받았을 때 2대1 간이식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다”면서 “세계 장기이식 수술을 개척한 나라는 일본과 미국이지만 생체 간이식 등 몇몇 분야는 의료 선진국에서 치료를 부탁할 만큼 한국이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는 2011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403건의 간이식 수술에 성공했으며, 매년 100여명이 넘는 해외 의학자가 연수를 오는 등 세계 간이식 수술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