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권호경기자]미국을 방문한 김성한 안보실장이 방미 기간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협의한다고 밝혔다.김 실장은 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입국길 취재진과 만나 "한·미 정상회담의 시기나 단계, 수준에 관해 최종 결론을 내기 위해 왔다"라고 밝혔다.올해는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은 해다. 김 실장은 "동맹을 앞으로 보다 강력한 `행동하는 동맹`으로 만들지에 관해 구체적 방안을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한국과 미국은 올해 양자 정상회담을 논의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는 4월께 윤 대통령이 국빈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해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이 있다.김 실장은 자신 방미 기간 양국이 한·미 정상회담을 공식 발표할 가능성을 묻는 말에 "협의를 해봐야 한다"라고 답했다.이번 방미 기간 김 실장 일정은 주로 행정부 쪽에 집중돼 있다. 카운터파트인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및 외교안보 고위 당국자들이 주요 면담 대상이다.김 실장은 이 밖에 "필요하다면 학계 인사들을 만나 정상회담, 또 앞으로 한·미 동맹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해 통찰을 얻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라고 설명했다.한편 우리 정부는 6일 한·일 간 강제동원 배상 해법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김 실장은 이와 관련, "협의 과정에 관해 그 어떤 나라보다 미국이 많은 관심을 보여 왔다"라고 말했다.바이든 행정부가 한·일 관계 개선을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로 연결하고자 한다는 설명이다. 김 실장은 "앞으로 발표할 한·일 현안 해법에 대해 미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라고 했다.그는 "한·일 관계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게 되면 한·미·일 안보 협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이라며 "한·미·일 협력이 보다 포괄적이고 풍부한 관계로 발전하리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다만 김 실장은 강제동원 배상 해법 발표 이후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 "한·일과 한·미 관계는 밀접하게 연결된 사안"이라면서도 "한·미 정상회담과 한·일 정상회담은 별개"라고 말했다.이번 방미 기간 김 실장은 한·미 양국 간 경제안보 현안도 논의한다. 특히 미국 상무부가 최근 발표한 반도체과학법상 보조금 요건 등도 현안으로 논의될 전망이다.김 실장은 이와 관련, "국내에 알려진 부분과 다른 보다 심층적인 미국의 속내라든지 이런 것들도 파악해야 할 것"이라며 "흉금을 터놓고 솔직한 협의를 해볼 생각"이라고 했다.미국 상무부는 반도체 보조금 지원을 신청하는 기업을 상대로 ▲노동자 보육 지원 ▲초과이익 공유 등을 요구하는 지원 계획을 발표했는데, 일부 요건은 과도하다는 지적이 온다.김 실장은 "미국과 한국은 공급망 협력에서 같은 배를 타고 있다"라며 "미국이 전개하려는 반도체법의 향방이 우리 업계나 경제 이익의 관점에서 어떤 부분에 잘 맞고, 어긋날 가능성이 있는지 챙겨보겠다"라고 했다.김 실장은 이날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와 중국 배터리 업체 CATL 간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문제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우회해 우리 기업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김 실장은 해당 논의에 관해 "준비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미국 측이 관련 우려를 어느 정도까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이번 방미 목적이라도 전했다.그는 이 밖에 한·미 간 확장억제 관련 논의를 두고는 "(미국의) 핵우산에 대한 우리 국민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할 방안이 무엇이 있을지에 역점을 두고 토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