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시에서 아동학대 사망 사건이 잇달아 발생하며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5일 정순신 변호사가 신임 국가수사본부장으로 임명됐다가 자녀 학교폭력(학폭) 문제로 하루 만에 낙마했다. 이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교육부는 지방교육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학폭 근절 대책을 조속히 보고하라”로 지시했다. 대통령실 역시 “검증에서 문제가 걸러지지 못한 부분에 대해선 아쉬움이 많다는 게 대통령실 입장”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포항시는 지난달 27일 아동학대 대응체계에 대한 재점검에 나섰다. 지난 한 해 포항에서 신고된 아동학대 의심 사례는 556건으로 이중 학대로 판단된 것은 80% 정도인 438건에 이른다. 2021년보다는 100여 건 감소한 수치지만, 여전히 지역 내 아동학대가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20년 10월 아동복지법 등의 개정 시행으로 아동학대 신고접수와 조사, 피해 아동의 보호조치에 대한 업무가 지자체로 이관됨에 따라, 시는 발 빠르게 법 시행 전인 같은 해 7월 아동보호팀을 설치해 선제적으로 시스템을 정비하고 업무를 적극 수행해 왔다.현재 포항시는 9명의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과 6명의 아동보호 전문 요원을 배치해 아동학대 발생 시 조사 및 아동보호 조치에 즉각 대응하고 있으며,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아동학대 전용 신고전화, 아동상담실, 학대 조사 전용 차량, 전용 휴대전화, 녹음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다.시는 이번 인천시의 중대 아동학대 사건을 계기로 다시 한번 아동학대 대응 시스템을 점검하고, 사각지대에 방치돼있는 고위험 아동들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홍보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지난달 9일에는 포항시, 남·북부경찰서, 포항교육지원청, 경북동부아동보호전문기관, 경북동부해바라기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계자로 구성된 아동학대 대응 정보 연계 협의체 회의를 개최해 아동학대 사례에 대한 적극적인 초기대응과 협업·공조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며, 고위험 위기 아동들에 대한 정보공유 및 공동 대응을 강화키로 했다. 3월 초등학교 신입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아동학대 정보 연계 협의체가 제작한 ‘긍정 양육 홍보물’ 배포를 시작으로, 신고 의무자인 학교 교사들을 위한 아동 학대 예방 및 신고 가이드 책자 제작, 대시민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저명인사 초청 부모교육 등 다각적인 홍보활동도 펼칠 예정이다. 아동학대 예방은 가까이 있는 사람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합리적인 의심, 그리고 용기 있는 신고가 중요하다. 미래세대 주인공인 아동들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세심하고 촘촘하게 안전망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