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여야는 3·1절 104주년을 맞은 1일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며 이러한 정신을 되새기고 본받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다만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방탄`을 위해 3월 임시국회 소집을 강행했다고 주장했고, 민주당과 정의당은 윤석열 정부의 대일외교를 `굴욕`, `굴종`에 비유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목숨 바쳐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거룩한 희생에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선조들이 피로써 지켜낸 대한민국의 자유를 위해 강한 국력으로 우리의 미래가 위협받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그러면서도 "자유와 헌신의 3·1절에 더불어민주당이 당대표 한 사람의 방탄만을 위한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했다. 민주당 스스로 방탄 국회임을 자인하는 모습에 국민들의 마음은 한없이 참담하다"고 지적했다.박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은 3·1절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어떠한 시도에도 굴하지 않겠다"고도 했다.반면 야권의 논조는 달랐다.김의겸 민주당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일본은 여전히 강제동원을 부정하고,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공식 사과와 배상을 거부하고 있다. 조선인의 피와 땀이 배어있는 강제노역의 역사는 지워버린 채,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려는 만행을 계속 시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 대변인은 "그런데도 윤석열 정부는 `한일관계 개선`이라는 미명 아래 굴욕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배상을 한국기업이 대신하는 제3자 변제방식을 구걸하고 있다. 반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사죄 요구는 입도 벙긋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김 대변인은 "그러는 사이 욱일기를 단 자위대 군함이 독도 주변을 휘젓고, 일왕 생일이라며 서울 한복판에서 기미가요가 울려 퍼졌다. 104년 전 맨손으로 태극기를 들고 독립을 목 놓아 외쳤던 선조들 앞에 고개를 들지 못할 지경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은 검찰공화국이 되었다.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검사들로부터 나오는 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아울러 "민주당은 2023년 대한민국이 계승해야 할 3·1절의 의미를 다시 새기겠다. 피 흘리고 목숨까지 바쳤던 선열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을 다짐한다"고 보탰다.김희서 정의당 대변인은 "윤석열 정부에서 횡행하는 차별과 혐오, 갈라치기의 정치를 넘어서서 인권과 민주주의를 지키고 확장하는 것이 3·1운동 정신"이라고 밝혔다.이어 "강제동원 배상문제를 해결할 때 일본과 전범기업의 사과를 받고, 피해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올곧게 해결하는 것이 3·1운동 정신이다. 남북한이 강대강 대치국면을 끝내고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는 것이 3·1운동 정신이다"라고도 했다.김 대변인은 "정의당은 3·1운동 정신을 무색하게 하는 윤석열 정부의 잘못된 정책에 단호히 맞서 그 정신을 지켜내겠다. 그리고 3·1운동 정신을 이어받아 자주와 평화, 민주주의가 살아 숨 쉬는 대한민국을 위해 국민과 함께 나아갈 것을 약속한다"고 전했다.아울러 "조국의 독립을 위해 피땀과 목숨을 바친 모든 분께 존경과 감사를 드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