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 건립공사가 전격 중단되면서 사업 자체가 불투명해 질 위기에 처했다.저수지 인근에 거주하는 남구 대송면 주민들이 대형 저수지를 매립하면 태풍내습이나 집중호우시 침수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극구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상황이 이렇게되자 저수지를 매립해 차고지를 만들겠다며 덥석 저수지 부지를 매입한 것은 졸속 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포항시는 화물차의 불법주차를 근절하기 위해 차고지를 건립키로 하고 100억원을 들여 지난 2020년 농어촌 공사 소유의 저수지를 매입했다.하지만 그러나 인근 주민들이 저수지 매립을 반대하고 나서면서,공정률 10%에서 공사가 전격 중단되면서,차고지 건립이 기약없이 지체되고 있다.공영 차고지 건립이 지연되자 시가지 곳곳이 화물차 불법 주정차로 몸살을 앓고 있다.불법 주정차가 날이 갈수록 심화되자, 포항시는 화물자동차의 주차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남구 제내리 540번지 일원 저수지를 매립해 화물차 공영차고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화물차 차고지 건립은 당초 오천 문덕리에 건립할 예정이었다.그러나 이곳이 주거지 인근 지역이라 민원발생 소지가 있어 시는 급히 다른 부지를 물색했다.차고지 부지를 변경하기위해 시는 수천만원을 들여가며 입지 변경 용역을 실시했고, 그 결과 제내리 저수지를 적격지로 선정했다.하지만 저수지를 차고지 예정지로 결정되자,인근 주민들이 유사시 침수피해가 우려된다며 저수지 매립을 반대하고 있다.저수지 특성상 매립을 해야 차고지로 사용활 수 있지만, 주민들의 매립 반대로 지난 1월 공사가 중단되자,잘못된 부지선정으로 예산만 낭비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게다가 포항시가 직접 부지조성에 나서는데 저수지 매립비용 등 부지조성비가 무려 130억원에 달할 정도로 많아 혈세 낭비라는 비판도 나온다.저수지 매립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김만호 포항시의원은 “구태여 혈세를 들여가며 차고지 부지 변경 용역을 실시한 것도 문제지만 느닷없이 저수지를 예정 부지로 선정한 것은 더욱 더 문제다”며 “무엇보다 저수지의 물을 빼고 매립하는데 적지 않은 예산이 들어가는데다 이제와서 매립 반대 움직임까지 있으니 결국 포항시가 혈세낭비를 자초했다”고 말했다.집중호우시 주민들의 비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저수지 일부를 매립하고 나머지는 유수지 상태로 남겨두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이 경우 100억원을 투입해 사들인 부지 중 2만2천여㎡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토지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져, 예산낭비가 이중삼중으로 가중되고 있다.포항시에 따르면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 건립 계획을 수립활 당시 8만2천여㎡의 저수지 부지 전부를 매립하고, 이중 6만105㎡에 대해 화물차 차고지 및 편의시설을 조성할 계획이었다.그러나 주민들은 “평소 유수지 역할을 하는 저수지를 매립하면 태풍 등 기상이변이 발생할 때는 우리들은 꼼짝없이 물난리를 겪을 것”이라며 매립을 반대하고 있다.주민 반대가 심해지자 시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저수지 매립으로 인한 영향분석’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3월중 용역을 실시해 9월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저수지 일부를 매립해도 된다는 용역결과가 나오더라도 주민들이 이를 수용할 지도 의문이라 뒤늦게 저수지 매립문제로 주민과 행정당국간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때문에 저수지를 매립해 차고지를 조성하겠다는 시의 당초 계획이 근시안적인 겉핡기식 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온다.포항시 관계자는 “차고지로 사용될 저수지는 수문도 없어 홍수조절 기능이 없어 매립을 해도 침수피해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며 “따라서 부지 선정전에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절차상 문제가 없지만,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걱정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관련 용역을 실시해 그 결과에 따라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고 말했다.화물차 차고지 조성이 늦어지자, 이면도로는 물론 간선 도로까지 불법 주차가 횡행하고 있다.사정이 이러한데도 지난 해 4월과 6월께 포항시의 화물차 밤샘주차 단속 건수는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행정기관의 단속이 허술한데다 차고지 건립까지 지연되다보니 도로 곳곳에 화물차들이 불법주차를 일삼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