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대통령의 고향도시로 대통령의 업적을 널리 알리고, 이를 후대에 교육하고자 힘쓰는 지자체의 노력에 대해 진보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까지 편승, 반대 의사를 표명하다 비난에 휩싸였다. 사실 확인 없이 일부 언론의 허위 보도까지 인용해 반대 주장을 펼쳤기 때문이다.민주당이 배포한 자료에는 “‘구미시장이 취임직후 경제가 우선이라며 박정희 숭모관 공약을 취소한다’고 했다가 윤석열 대통령 구미방문 이틀 전인 지난달 30일 돌연 품격있는 추모공간 마련을 위해 숭모관 건립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구미시장 당선 이후 단 한 차례도 숭모관 건립 취소를 언급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구미시는 이에 대해 반박문 배포를 통해 민주당의 주장이 사실이 아님을 알렸다. “박정희 대통령의 고향도시인 구미시는 박정희 대통령의 업적을 널리 알리고, 이를 후손에게 전할 의무가 있다. 역대 대통령을 기념하는 것은 정치적 논란과 공과의 판단과는 별개라고 판단한다. 이번 민주당 경북도당의 주장은 이념 대립을 조장하고 갈등을 부추기는 시대착오적인 메아리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 이는 민주당이 특정 언론 보도만을 믿고, 당사자인 구미시에 단 한 차례 확인도 하지 않아 벌어진 사태로 보인다. 구미시는 숭모관건립자문위원 구성, 논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고 있어 예산 규모 등 구체적 추진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미시는 이외에도 경제회복 방안과 구미시의 부채 문제, 박정희 기념사업과 새마을운동의 차별성 등에 대해 해명했다.특히 민선8기 출범 후 구미시장은 여러 현안사업 해결을 위해 국회 및 중앙부처 등 잇단 방문 등으로 국도비 확보에 노력했고, 사상 첫 예산 2조 진입과 동시에 오히려 부채도 365억원을 줄어 재정 건전성이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의 1300억원에 이르는 박정희 기념사업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에 사용된 907억은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이 아닌 새마을운동의 가치를 계승ㆍ발전시키기 위해 사용됐으며, 159억이 소요된 박대통령 역사자료관 또한 2014년 국회 ‘동서화합포럼’을 통해 진영 논리 극복 차원에서 추진된 사업이라고 해명했다.‘박정희 추모관 신축’과 관련, 진보단체에 이어 민주당도 가짜뉴스 편승해 반발했지만, 사실 확인 후에 반대표명이 이뤄졌다면 비난에 휩싸이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기자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사실을 직접 보고 객관적으로 취재하는 것이지만 실제 확인없이 가짜 뉴스를 생산하는 것은 문제다. 그러나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도 큰 문제라고 본다. 누군가는 가짜뉴스의 피해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