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어 핀 외진 산골 얼레지 꽃 대궁 하나양지꽃 하나냉이 꽃 하나에도나비가 찾아드는 건 봄꽃 앉은 바로 그 자리에도번지수가 있기 때문 때로 현호색이 보낸 꽃가루를 제비꽃이 받는 배달사고도 있지만금년 온 천지 붉고내년은 또 노오랄 것은봄꽃 앉은 바로 그 자리에도번지수가 있기 때문 가방도 아니 멘 나비 때가 너울너울 모자도 아니 쓴 꿀벌 떼가 닝닝닝자전거도 아니 탄 봄바람이 돌돌돌금년 온 천지 붉고내년 또 노오랄 것은바로 저 우체부들 때문 <수필가가 본 시의 세상> 봄을 맞이한다는 영춘화가 피었다. 한겨울의 냉랭한 추위를 거뜬히 이겨내고 노란 꽃을 피워내는 그 기개에 그만 두 손을 합장하게 한다. 그 이후 피는 봄까치꽃이며 얼음새꽃이랑, 변산바람꽃이 마치 순서를 기다리듯 줄을 이어 꽃을 피운다. 그 다음이 얼레지 꽃 대궁 하나, 둘풍선 터트리듯 꽃을 터트릴 것이다.봄꽃은 모두가 다 시어(詩語)다. 그 시어(詩語)들은 맑은 소식을 전하듯 풋풋하기만 하다. 꽃들에게도 주소가 있다는 말에 고개를 끄덕인다. 주소가 있다는 것은 꽃의 자리가 변함없이 있다는 것이고 존재의 위치가 확실하다는 것을 증명한다는 의미다. 그 주소를 어찌 알고 벌, 나비 우체부들이 매년 찾아 나서곤 한다. ‘나비 떼가 너울너울, 꿀벌 떼가 닝닝닝, 봄바람이 돌돌돌’ 다니며 얼레지를 깨우고 양지꽃과 냉이 꽃의 문을 두드린다. 그러면 그들은 기꺼이 우체부를 맞아들이고 서로가 가진 선물을 교환한다. 그것이 봄이다. 봄은 푸짐한 선물보따리다. 서로가 가진 것을 아낌없이 나누는 봄처럼 사람들도 그렇게 살다갔으면 좋겠다. 다투지 않고 순서를 존중해주는 봄꽃의 모습을 닮아갔으면 참 좋겠다. <박모니카>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