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지방소멸론이 빠르게 번져나가고 있어 지자체와 지역민들의 걱정과 우려가 더해가고 있다. 합계출산율, 즉 15세에서 49세까지 가임기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 지표가 1.0이 안 된다고 한다.지난 20여년 동안 저출산 극복을 위해 약 380조원의 재정을 투입했지만, 합계출산율은 계속 떨어져 2022년 현재 0.8 아래다. OECD 평균이 1.59인데 한국이 최하위이니, 사실상 전 세계에서 꼴찌다.경북도의 경우 인구수가 2015년 270만3000여 명으로 고점(高點)을 찍었다가 2023년 현재 260만명이 무너졌다.상주시의 경우도 1960년대 중반 인구수 26만을 돌파하다 최근 10만 벽이 허물어진 9만5천여 명을 기록해 인구절벽과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열과성을 다하고 있다.이와 같이 점증(漸增)하던 인구가 급락하는 것은 분명한 위기다. 연간 1만명 이상 급락해 지방소멸의 전조(前兆)가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특히 이철우 도지사는 이를 타개키 위해 도정 전 분야에 걸쳐 ‘변화와 혁명’을 부르짖고 있다.심지어 도지사 집무실 문 앞에 ‘변해야 산다’라고 혁신 슬로건까지 붙여놨을 정도다.이철우 도지사의 변화와 혁명에는 지방소멸이 결국 국가적 쇠락으로 가는 만큼 경북도가 앞장서서 이를 혁신적으로 타개해 지방을 살리고 국가를 바로 세우겠다는 강한 의지와 집념이 담겨있다.인구가 많은 것도 국력의 일부라는 것을 생각할 때, 적어도 인구대체 출산률 2.1 이상은 달성해야 현재의 인구수준과 국가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출산율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하면 여성계에서는 “여성들이 애 낳는 기계냐?”라고 반박할 것이다. 이 또한 맞는 말이다. 출산은 인류가 영속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며 지구별에서 문화를 꽃피우고 행복한 삶을 영위해 나가는 기본이다. 아기를 놓으라고 해서 놓을 일도 아니고, 놓지 말라고 해서 놓지 않을 일도 아니다. 우리 정부가 2004년 5월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만들어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도 고령화돼 가고 축소돼 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염려해서 일 것이다. 출산을 장려해야 국가의 미래가 있다고 보는 것은 올바른 시각이다. 적정한 인구 수준의 유지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현재의 출산율 정책이 약 30년 후의 경제활동 인구 구조를 결정짓는다는 측면에서 지속적인 출산장려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출산은 개인의 사생활에 관련된 문제이지만, 나라의 미래가 달린 일이기도 하기 때문에 국민모두는 공동체를 생각하는 철학과 이성의 회복이 우선돼야 하고 정부와 정치권은 차가운 머리를 서로 맞대고 위기극복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대혁신방안을 강구해 나가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