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에 집중되어 있던 많은 관공서들이 혁신도시로 이전되어 둥지를 틀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를 활성화하고 지나친 중앙집권화를 막기 위함이다. 나아가서 전 국토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그 지역에 사는 국민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주겠는 것이다. 정부의 이 같은 정책추진의 결과는 나중에 알 수 있을 것이지만, 비대해진 서울 중심의 경제를 벗어나 인구분산의 효과와 급등하는 주거비용을 완화시키는 지방분권화 혜택 중의 하나일 것이다. 현재 상태로 볼 때 지역경제는 혁신도시의 개발로 어느 정도 활성화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문제점도 만만치 않다. 서울과 수도권에서 살다가 관공서의 이전으로 지방에 내려와 살려고 하면 여러 가지 여건이 맞지 않다. 굳이 국가기관이 아니더라도 경북도청의 경우 경북 북부지역에 이전을 한지 많은 시간이 경과했지만 아직까지 직원들이 대구에서 안동으로 출퇴근하거나 주말부부로 살아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이같은 사정을 살펴보면 먼저 공부하는 학생들이 있는 가정은 모두 이사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전학해서 지방의 학교에 다닌다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학생들이 전학을 하면 학습내용과 수업방식이 달라서 적응하는데 애를 먹기 때문이다. 교우관계만 해도 그렇다. 이전의 학교에서 잘 적응하여 많은 친구들을 사귀었는데 또 전학한 학교에서 친구들을 사귀는 것은 힘들기 때문이다. 거기에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학부모들은 이런 수고를 해가면서 학생들을 전학시키는 모험을 선뜻 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도 관공서에 다니는 아버지들만 혼자 지방에 내려왔다가 주말에 서울로 올라가는 상황이다. 또한 관공서의 이전에 따라 그 부서와 관련된 민간 기업들이 혁신도시에 들어서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지금 혁신도시에는 국가의 관공서만 대거 이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 이전에 따른 부수 효과로서 아직은 민간 기업들이 따라오고 있지 못하다.따라서 이러한 민간 기업이 대거 따라 올 수 있도록 경제적 여건을 마련해 주는 일이다. 땅값이 비싸서 이주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혁신도시주변에 민간 기업들이 들어 올 수 있도록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에게 저리 융자혜택을 주어 많이 유치토록 해야 한다.또한 교통 불편과 인력확보에 어려움에 대해서는 취업자와 기업체 연결 방안, 산단 내 셔틀버스 운행 및 버스노선 확보 등 교통 대책 마련에 대한 사항, 탄소배출 관련 지원에 관한 사항, 산단 내 조경 및 환경정비에 관한 사항 등에도 적극적인 도움이 있어야 한다. 아울러 지방분권화의 시대에 걸맞게 정부는 지자체의 기업이 성장 발전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지원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