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재단법인 포항문화재단의 올해 첫 기획전시로 진행중인 ‘우묵한 깊이, verthrust’가 시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전시가 펼쳐지고 있는 대안공간 ‘space 298’은 지역작가의 여러 실험적 작품활동을 전개할 수 있게 운영되고 있는 공간이다. 단순한 개인전시 형태가 아니라 전시 전문기획자와 협업하고 미술평론의 기회를 연결함으로써 지역작가의 창작의욕과 작품수준을 높일 수 있는 등 여러 미술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거점공간이다. 특히 지역 출신의 젊은 유망작가를 초청하여 꾸려진 이번 ‘우묵한 깊이, Overthrust’ 전시는 대형 윤슬작품을 비롯하여 독특한 방식의 작품들이 주는 색다른 감동으로 전시장을 찾는 관객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번 전시에 초청된 권세진 작가는 한국화와 동양화 조형 원리를 ‘지금’, ‘여기’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한국화 장르를 새롭게 개척하고 ‘조각 그림’이라는 방식을 창안하여 풍경을 새로운 경험 이미지로 구성하는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그 이미지는 사진적 기록의 차원과 기억이라는 환기, 잔상의 차원과 감정 등 표현의 차원을 모두 응축한 이미지의 총체이다. 전시장은 색이 없는 흑백의 먹 작품들로 가득 차있다. 이번 전시 주제의 큰 영향력을 준 2022년 작 `웅덩이`는 사진의 표면 뿐 아니라 그 안의 공간을 보여준다. 작품이 우묵하게 보이는 이유는 깊숙이 아래를 보는 시선과 섬세한 담목으로 그린 음영 때문이다. 작가는 한 장의 사진에 담기 어려운 거대한 풍경에 대하여 대상의 형상과 화면의 구성을 고민했다.   특히나 이번 신작 `이동시점`은 사진 9장을 합성하여 그린 풍경으로 작가는 눈을 돌리거나 고개를 움직여야 파악이 가능한 공간을 촬영해 화면을 완성했다. 이 구성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사진 콜라주와 닮아있고 장소를 종합하여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동아시아의 전통 회화와 유사하기도 하지만 작가는 풍경의 여러 모습을 촬영해 새롭게 조합하고 충돌시키며 우묵한 공간을 우그러뜨려 재구성시킨 풍경을 다시 펼쳐 생동하는 풍경으로 상상하게 했다. 작가는 벽면에 얇은 ‘조각 그림’을 핀으로 고정하여 설치했다. 떨어질 듯 말듯한 아슬아슬하게 설치한 이 작품은 관객들이 작품 앞을 지나가거나 움직이면서 생기는 바람으로 우리의 이야기를 전하게 하고 이를 통해 움직이는 ‘조각 그림’은 그에 대한 대답이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작품과 관객이 서로 반응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번 전시는 관객에게 더욱 밀도 있는 감동을 안겨주었다. 작가의 철학과 작품세계는 전시장 내 상시적으로 재생되는 인터뷰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전시장 내 사진촬영 및 영유아의 전시 관람도 허가된다. 전시는 이번 달 26일까지 별도의 휴관일 없이 오전 10시부터 저녁 7시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