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OECD회원국 중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이다. 우리나라 자살률이 경제협력기구(OECD)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자살률을 30% 이상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또한 번개탄 등 자살위해 수단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등 자살위험 요인을 더 강력하게 제거하고, 자살 시도자·유족에 대한 사후관리까지 다각적으로 자살예방에 나서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3일 공청회를 열고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안(2023년~2027년)`을 발표했다.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자살사망자는 1만3352명으로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6.0명이었다. 지난해 9월 기준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10만 명당 23.6명으로 OECD 평균(10만 명당 11.1명)을 훨씬 웃도는 수치로 나타났다.복지부는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안의 슬로건으로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구현`을 비전으로 내걸었다. 현재 인구 10만 명당 26.0명인 자살률을 오는 2027년까지 18.2명으로 약 30% 가까이 감소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설정했다. 또한 현재 12%인 자살생각률을 2026년까지 4.6%로 내릴 계획이다. 나아가 생명존중안심마을을 조성해 2027년까지 17개 시도에서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 정책을 강화한다.복지부는 경찰, 소방 연계 자살 시도자의 서비스 동의율을 높이기로 했다. 지난해 기준 28.2%인 서비스 동의율을 2027년까지 40%까지 올리겠다는 것이다.복지부는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 자살위험 요인감소, 자살 고위험군 집중관리, 사후관리 지원강화, 대상자 맞춤형 자살예방, 효율적 자살예방 추진기반 강화 등 5대 추진전략을 설정했다.복지부는 "이번 기본계획은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 변화로 자살위험이 증가할 것에 대비하는 것으로 향후 5년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실질적인 자살사망자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그동안 자살 요인을 개인의 심리적, 경제적 고통 때문에 발생하는 개별적인 현상으로 이해하여 개인의 나약함과 맹목성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자살의 문제는 개인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주변 환경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자살 그 자체가 하나의 단위로 독자적인 특성, 사회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자살 원인을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 대책이나 우리의 인식도 달라질 수 있다. 자살을 막는 방법은 원인을 정확히 알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살시도자를 대하는 잘못된 인식을 바꾸는 것이다. 한번 자살을 시도한 사람은 언젠가는 자살을 할 것이며, 이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관심을 꾸준히 가질 때 자살률은 줄어든다는 사실이다. 인생에 대한 실망과 좌절을 겪으면서 심할 경우 삶을 포기하게 되는 것도 결국 우리사회의 무관심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국민 모두가 알아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