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시교육청은 학생 중심의 특수교육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통합교육 여건 조성 및 장애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특수교육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2023. 대구특수교육 운영계획’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대구교육청은 올해 △학생 중심 특수교육 전달체계 내실화,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 지원 강화, △개별 맞춤형 특수교육 확대 등 3가지 중점과제를 중심으로 대구특수교육을 추진한다.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조기 발견을 위해 영유아 진단검사비(1인당)를 지난해 25만원에서 올해 50만원으로 지원 확대하고, 올해 처음으로 6억4천만원의 예산을 편성해 특수교육대상유아가 3명 이상 배치된 사립유치원에 특수교육 지원인력 인건비를 지원한다.시교육청은 특수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특수교육수업지원단을 구성해 교원 연수 및 컨설팅을 실시하고, 교실 수업 개선 및 연구하는 학교문화 조성을 위해 전문학습공동체 60개 팀을 운영한다. 또 대구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대구특수교육원을 중심으로,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행동중재에 대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등 학생 중심 특수교육 전달체계를 내실화하는데 힘쓴다.아울러 대학교수, 특수교사, 일반교사, 행동지원전문가 등 지역 내 특수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통합교육지원단 5개팀을 운영해 통합교육 관련 컨설팅과 상담, 특수교육 교원 연수 등을 진행한다. 그리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 협력적 역할 모형 연구를 위한 정다운학교 7교를 운영한다. 또 경찰서 성폭력 담당자, 학교폭력, 성교육 전문가, 상담 전문가 등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5개팀을 운영해 장애학생 인권 침해 예방 및 인권 보호 활동을 강화하는 등 일반학교의 통합교육 지원체계 및 역량을 강화한다.시교육청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1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지역 모든 특수학교에 중도중복장애 교육과정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고, 이룸고와 보건학교를 중심으로 장애유형별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모델을 연구 개발해 보급한다. 또 특수교육관련 서비스 지원 확대를 위해 1인당 치료지원비를 지난해 월 12만원에서 올해 월 14만원으로 2만원 인상하는 등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른 개별 맞춤형 특수교육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강은희 교육감은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이 사회구성원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개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 안정적인 교육활동 및 치료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